d라이브러리
"몸무게"(으)로 총 90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또 있다.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혈류량을 늘릴 수 있다. 사람의 뇌는 1.2~1.4kg으로 전체 몸무게의 2% 정도다. 그런데 뇌로 가는 혈류량은 온몸을 순환하는 양의 20%다. 몸 전체가 사용하는 산소의 20%를 쓴다는 뜻이다. 또 뇌는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내는 탄수화물(포도당)만 사용하는데, 뇌 주름에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모두 성체 수컷의 키는 82~91cm, 몸무게는 30~61kg 정도이며, 암컷은 수컷에 비해 키가 4% 작고 몸무게는 35% 정도 가볍다. 유인원이기 때문에 두 종 모두 꼬리가 없다.유전자 비슷하고 잡종도 가능한 친척이들은 기본적인 사회시스템도 비슷하다. 예컨대, 짝짓기 시스템이 ‘난혼(亂婚)’이다. 즉, 여러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걸어갔다. 그러면서 체중계 실험의 대전제로 돌아갔다. 미래를 예측하는 기계. 다음번 몸무게를 정확히 알아내는 장치. 기계가 가진 비현실성은 분명 실재했다. 그 비현실성을 설명하려면 아무래도 과감한 가설을 가져오는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그게 너무 과감한 가설이었다면? 미래를 예측하는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파워 근육’의 소유자!느림보원숭이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소형영장류로, 성체의 몸무게가 약 1.2kg이다. 야행성 영장류로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 위에서 보내며, 과일, 새알, 나무수액 등을 찾아 먹거나 나무 위에 사는 곤충을 사냥해 먹는다. 소형영장류이기 때문에 호시탐탐 자신을 노리는 뱀,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희귀한 파충류였던 이 거북은 하루아침에 ‘멸종된 종’이 됐다. 핀타섬육지거북은 몸무게가 100kg정도 나가는 거대한 거북이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핀타섬에서만 살았다. 이 거대한 거북은 약 140년 전인 1877년,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양서파충류학자 앨버트 귄터가 처음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주장했고, B팀은 균형 잡힌 체형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그 근거로 A팀은 키에 비해 몸무게가 더 많이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B팀은 체질량지수를 따지면 오히려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했다.라면 끓일 때 스프를 먼저 넣어야 맛있다는 이야기를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과연 ...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호빗’처럼, 키와 몸무게가 인간의 절반밖에 안 되는 종족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호주 그리피스대 인간진화연구소 아담 브룸 박사팀은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의 소아 분지에서 키가 1m 남짓한, 현생인류의 친척 ‘호모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크다. 몸통 전체와 길이가 비슷한 (약 40cm) 꼬리를 갖고 있는데, 털로 수북하게 덮여 있다. 몸무게는 2.5~3kg 정도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무겁다. 네발로 기어 다니고, 다른 야행성 동물과 마찬가지로 소리를 내지 않고 은밀하게 이동한다. 특이하게도 앞니가 설치류처럼 끊임없이 자라나서,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두 종은 감히 먹을 엄두도 못 낸다.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가 매일 먹는 청산가리의 양은 몸무게가 비슷한 일반 원숭이 기준 치사량의 12배에 해당한다. 이렇게 독한 음식을 어떻게 소화시키고 독성을 배출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구한 세월 동안 황금대나무여우원숭이와 대나무가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정도다. 그런데 여기서 달라지는 염기순서에 따라 개인마다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키와 몸무게, 피부색과 눈동자색 등의 생물학적 특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돌연변이 예측하는 수학지난 1월 돌연변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인간 유전체와 계산생물학을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