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개시
전입
첫 출발
취임
취직
침입
d라이브러리
"
들어가기
"(으)로 총 3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출애굽기’에 의하면 이스라엘 사람들이 광야를 가로질러 약속의 땅인 가나안으로
들어가기
까지는 무려 40년이나 걸렸습니다. 이런 역사적 사실에 대해 두가지 해석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한 해석에 따르면, 가나안까지의 직선거리는 대략 3백20km이므로 하루 평균 이동 거리는 약 22m인 셈이고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반적응주의자들(굴드와 르원틴을 가리키며)이 함께 앉아 계십니다. 본격적인 토론에
들어가기
위해 좀 구체적인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코스미디스 교수님, 남성의 강간 행동은 적응입니까?코스미디스(D팀): 아마도 진화생물학자 쏜힐 교수가 최근에 쓴 ‘강간의 자연사’(2000)를 염두에 두고 하신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몸 속에 정교한 ‘부동액 체계’를 갖췄다. 겨울철 자동차에 부동액을 넣듯이 동면에
들어가기
전 먹이를 많이 먹어둠으로써 포도당(글루코오스)을 혈액 속에 다량 넣는다. 세포의 어는점을 낮추기 위해서다.사람이라면 혈액 속의 포도당이 2배만 돼도 당뇨병에 걸리지만 개구리는 2백50배까지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어느새 평지는 사라지고 버스는 산길로 접어들었다. 계곡을 따라 점점 깊숙한 산중으로
들어가기
를 30분 남짓, 버스는 종점에 다다랐다.얼음골 관리사무소를 지나 시원한 바람이 부는 오른쪽 계곡을 따라 10분 정도 올라가자 땀은 식고 어느새 가슴이 떨릴 정도로 추위가 느껴졌다. ‘이곳이 과연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교수님은 언제 질병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되겠다고 생각하셨는지요?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부터였습니다. 그 당시 공상과학 만화책에 등장하는 과학자를 보고 나도 과학자가 돼야지 하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우리집이 약국을 했는데, 비커같은 간단한 실험기구들을 갖고 놀곤 했습니다. 제가 ... ...
목성 위성의 얼음 두께는 25km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얼음 두께는 뚫고 들어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두께인 1백km보다 얇지만, 그래도 뚫고
들어가기
에 쉽지 않은 정도다. 현재 유로파 탐사선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보스토크 호와 같은 남극의 얼음 호수를 탐사하면서 공학적인 기초기술을 개발중이다.한편 과학자들의 소원이던 유로파 ... ...
보석 일상생활에서 첨단기기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경우 생성 환경에 따라 불순물의 함량도 일정치 않거나 원치 않는 광물이 결정 속으로
들어가기
도 하는 등 많은 결함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우리가 원하는 특성을 갖기도 힘들 것이다.이런 이유로 인해 산업에 사용되는 보석에는 대부분 합성석을 사용한다. 산업용 보석뿐만 아니라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과정은 종류에 따라 조금 차이는 나지만 근본적으로는 매우 유사하다. 숙주세포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의 단백질이 숙주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한 수용체와 결합해야 한다. 이 상호작용이 특이적이어서 바이러스가 감염할 수 있는 숙주세포가 정해지는 것이다.숙주세포에 결합한 바이러스는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시기 언어 경험이 평생 국어실력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영어교육 역시 유치원에
들어가기
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뇌 발달에 맞춰보면 교육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 너무 일찍 마구잡이로 시키는 것보다는 초등학교 입학 전후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외국어 교육을 시키는 것이 ... ...
자식의 수명은 어머니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난자의 미토콘드리아만이 수정란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가 유전된 경우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로부터 받았다는 얘기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가 장수의 비결이라면, 자식의 수명에 대한 결정권은 아버지보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