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가"(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올라탈 수 있는가는 다른 문제다. 여러 산업과 마찬가지로 반도체 산업의 흥망성쇠도 국가별로 다를 수 있다. 한국은 메모리반도체에 강하다. 잠깐 배경 설명을 하자면, 반도체는 크게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구분된다. 메모리반도체는 주기억장치(RAM 또는 ROM)처럼 정보를 저장하는 ... ...
- [특집] 황금책은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00번대를 쓰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정치학은 320번대로 구분하고, 정치학 중에서도 ‘정부, 국가 시스템’ 관련 책은 321번, ‘사회단체와 정부 관계’ 관련 책은 322번을 붙여요. 우리나라 도서관은 대부분 DDC를 우리나라에 맞게 바꾼 ‘한국십진분류법(KDC)’을 써요. DDC에서는 400번인 언어학이 ...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역대 아시아계 필즈상 수상자] 아시아에 자국 출신* 수학자가 필즈상을 받은 국가는 7개가 있습니다.*해당 국적을 가진 적 있거나 부모가 해당 국적인 외국 국적자. [ICM 강연자] ICM에서는 각 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자를 ‘초청강연자’로, 수학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원래 목소리와 흡사하게 모든 언어로 번역이 되는데도 사람들은 대체로 인종이나 국가별로 모였다. 어떤 이들은 마을을 이뤄 살기로 결정했다.사람이 있는 곳은 분쟁이 있기 마련이라 남은 사람들끼리 싸우고 패가 갈리더니, 모여서 살기로 했던 이들 중에서 이사 가는 이들이 나오고, 누가 떠나야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피험자의 진술을 이끌어내는 법을 연구합니다. 또한 사건이 발생하면 경찰, 법원 등 국가기관에서 사건 해석에 대한 감정을 요청받아 심리 분석을 진행하지요. Q거짓말 탐지를 할 때 무슨 질문을 하나요?‘일반 질문 검사’와 ‘숨김 정보 검사’로 크게 두 가지 기법이 있어요. 일반 질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10년 만에 사라진 ‘게임 셧다운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것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있었어요. 무엇보다 게임할 수 있는 시간을 국가가 정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많았어요. 이뿐 아니라 2020년에 발표된 게임백서에 따르면 요즘은 게임을 PC보다 모바일에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게임 셧다운제는 ... ...
- [이슈2]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 트러스교 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자동차, 지하철, 기차 등을 타고 다리를 건너본 적 있나요? 빠르게 스쳐 지나가는 바깥 풍경을 한번 자세히 들여다보세요. 원, 삼각형, 사각형에 마름모까지!다리 모양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는 걸까요? 지난번 ‘아치교’에 이어, 이번에는 삼각형의 신비함을 품은 다리 ‘트러스교’를 소개합니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안녕! 최근 세계여행을 시작했어. 낯선 곳에서 생일이라니, 조금 외로운 감정도 들었는데 홀로그램으로 친구들이 축하해줬지 뭐야~? 그런데…, 너네 언제까지 이럴 거니? 과학뉴스 中 … 벽돌 모양 장치로 초대형 홀로그램 탄생! … (하략) … 다양한 화합물이 들어 있는 액체에 나노 ...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않고 현장 취재를 나갔습니다. 2010년 인도, 2014년 우리나라, 2018년 브라질이번엔 북유럽 국가 핀란드였지요. ‘유럽수학회’ 본부가 있는 핀란드는 필즈상 사상 첫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로 수학과 인연이 깊은 나라입니다. 기자 2명이 핀란드로 날아가 그 뜨거운 현장을 직관했습니다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잘 했나요? A. 수학을 꽤 잘했지만, 영재는 아니었어요. 수학경시대회에도 나갔지만, 국가대표 팀을 뽑을 때는 항상 떨어졌습니다. 장밋빛 답변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공부를 잘 해야 커서도 좋은 학문적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은 자기가 잘하는 것을 좋아하길 마련이지요. 좋은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