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습격
공세
내습
모독
급습
강타
침략
d라이브러리
"
공격
"(으)로 총 1,99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인챈트 시스템’이야. 인챈트는 아이템의 기본 성능을 올려주는 기능이야. 유저들의
공격
력을 결정하는 무기에는 인챈트 수치가 있는데, 이 수치가 올라가면 적을 명중시킬 확률이 높아져. 보통 +6까지는 인챈트가 100% 가능하지만, 그 이상에서 인챈트를 시도할 경우 정해진 확률에 따라 아이템이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러시아 출신의 동물학자로 정부의 압력을 피해 이탈리아 시칠리아 북동부로 피신한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1882년 배아 상태의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 특정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더 명확하고 강력하게
공격
하는 림프계 세포들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성분이 파괴된다는 점을 짚어냈다. 저온 살균하지 않은 혈청은 시험관에서도 병원체를
공격
했다. 열에 강한 항체와 함께 병원체를 죽이는 열에 약한 성분을 발견한 것이다. 이후 독일의 화학자 에두아르드 부흐너는 이 성분을 ‘알렉신(alexin)’이라 명명했고, 오늘날에는 ‘보체(complement)’라고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장 큰 차이점은 세포성 면역반응의 여부다. 세포성 면역은 면역세포가 항원을 직접
공격
하는 특이적 면역 반응이다. 바이러스가 활성화된 상태인 생백신을 접종하면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투해 증식을 시작한다. 그러면 후천 면역반응 중 세포 매개 면역반응과 항체 매개 면역반응이 함께 일어난다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채 감염자만 늘어날 뿐이었다. 그전까진 면역체계를
공격
하는 감염병이 없었던 터라 백신 개발이 더딜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1999년 영국에서 ‘더 리버(The River)’라는 제목의 책 한 권이 출판됐다. 영국 언론인 에드워드 호퍼가 쓴 이 책에는 중앙아프리카에서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세포까지
공격
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런 신호를 면역시스템이 인식하면 몸속에서는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하는 다양한
공격
을 시도한다. 특히 최근 개발되는 항암제는 대부분이 면역항암제인데, 이는 암세포의 표식을 항원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암세포만 특정해 제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우리 몸의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인식한 뒤 스스로 바이러스를
공격
할 수 있도록 분화하고, B세포는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한다. 그중 일부는 기억세포로 분화하며 추후 동일한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을 빠르고 강력하게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학 분야의 대가다. 그는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만 정확하게 구별해
공격
하는 원리를 알아내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과학동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통찰력을 얻기 위해 그와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Q.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주입된 항암 바이러스가 암세포에서 자라면 기존 항암제가 이를 인식하고 암세포만
공격
해 없애게 하는 원리다. 항암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가 사멸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가 항암 바이러스에 감염돼있는 덕분에 기존 항암제가 이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어 치료 효과는 배가 된다.한 예로 2018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