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절
부인
사절
낙방
낙선
부결
퇴사
d라이브러리
"
거부
"(으)로 총 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더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나 영국 정부가 인질 테러범들과 인질석방 협상을
거부
하는 것과 같은 이유다. 심지어 돈을 입금한다고 비밀키를 보내준다는 보장도 없다. 이 대표는 “실제로 돈을 보낸 사람 중 비밀키를 받는 사람은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티랜섬웨어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생생히 더듬어 내야 한다. 그런데 그 과정 이 고통스러워 환자는 의식적으로 기억회상을
거부
한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정신과 전문의 스킵 리 초 박사는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참전용사를 위한 가상체험 치료시스템을 개발했다. 환자는 중동지역 을 배경으로 10가지 정도의 가상 시나리오를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좋게 분해하기 위해 산을 쓰는 연구도 있었다.하지만 산을 식품에 이용한다는 사실에
거부
감을 느끼는 소비자도 많다. 가장 큰 우려는 건강에 대한 우려다. 혹시 문제는 없을까. 일단 식품 공정에 산을 이용하는 것 자체는 안전하다. 묽은 산을 이용하는데다 엄격한 공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김왕준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효율적인 기술규격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과거 기술에 익숙한 기존 사용자들은 이를
거부
하기 때문이다.아날로그 시대에 살던 사람들도 디지털에 끈질기게 저항했다. ‘10/10 법칙’이란 새로운 용어가 등장했을 정도다. 10/10 법칙은 플랫폼을 만드는 데 10년이 걸리고, 이 플랫폼을 대중이 받아들이는 ... ...
[Knowledge] 천국보다 낯선, 고독보다 낯선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지레 겁먹고 대화를 피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모두가’ 어느 정도씩은 이런
거부
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상대방이 나를 불편해 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를 자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서로를 피하고 그런 서로를 보며 ‘역시 날 불편해하는 군’이라며 상처받는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또는 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산가쿠가 975개라고 한다.일본은 명치유신이후 서양문물을
거부
감 없이 받아들이고 아시아의 강대국이 됐다. 그 이유가 절이나 신사에서조차 수학을 중시하던 풍습 때문일 것이라 생각하며 여행을 마무리했다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있는 질병도 다양하다. 환경문제에 민감한 유럽에서는 주민들이 셰일가스 개발을 강력히
거부
해 여태 한 삽도 못 뜨고 있다. 미국에서도 버몬트와 뉴욕에서는 주정부가 셰일개발을 금지시켰다.물 부족도 심각한 문제다. 셰일가스 유정 하나를 팔 때 물 1400만L가 들어간다. 인구 5만 명인 도시에서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환경이 척박해졌고 식물도 많이 거칠어진 시기였다. 하지만 이 인류는 변화를
거부
하고 거친 식물을 먹었다. 어금니가 커지고 턱이 강해졌지만 한계에 이르렀고, 약 100만 년 뒤인 지금부터 150만 년 전에 멸종했다. 고기를 먹게 된 진화가 얼마나 획기적이었는지 알 수 있다.더구나 인류는 석기를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여기서 우리는 낭만적인 사랑이 왜 이렇게 강력한지 비밀을 알 수 있습니다. 도저히
거부
할 수 없는 열병 같은 사랑의 힘은 ‘생존’입니다. VTA는배가 고프거나 무언가를 터득해야 하는 생존과 직결된 상황에서 활성화됩니다. 미상핵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살아남기 위해 낭만적인 사랑을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주장했다.꿈의 여객기 기술은 지금도 진화 중초음속 여객기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에
거부
감을 보이는 사람도 많다. 현재의 장거리 비행을 승객들이 크게 불편해하지 않는데 굳이 환경에 해로운 초음속 여객기를 만들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문제도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그러나 항공우주기술은 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