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업일
평일
d라이브러리
"
취업일
"(으)로 총 2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08
지적노동의 비중이 높아지고 개인의 창조성이 한껏 발휘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사회. 우리는 지금 어느 단계에 와 있는가?'제3의 물결'의 저자 앨빈 토플러는 "인류사회는 수천년간 제1의 물결(농경사회)과 그후 수백년간 제2의 물결(공업사회)을 지나왔다. 이제 인류는 고도 '정보사회'라 일컫는 제 ... ...
국토를 일구어내는 첨병이 되고자
과학동아
l
199008
빌딩 댐 도시 등 확실한 형체로 내 분신을 남긴다는 것은 가슴 벅찬 일이다.해방! 마지막 시험을 치르고 나오는 내 마음은 몹시 들떠있다. 뜨겁게 내려쪼이는 여름햇볕을 받으며 백양로를 걸어가는 짧은 치마의 여학생들 발걸음조차 날아갈 듯 가벼워 보인다. 기말고사가 끝난 상쾌함, 방학에 대한 ... ...
여성과학기술자 성(性)차별 심각하다
과학동아
l
199006
인문계에 비해 공개채용의 비율은 높으나승진 임금에서 차별대우는 다른 직종과 대동소이 성별(性別)에 관계없이 능력에 따라 대우받는 것으로 인식되어왔던 과학기술전문직여성들이 직장내에서 심각한 성차별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나 주목을 끌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 ... ...
전산교육전문기관 인기
과학동아
l
199005
정보문화센터 전자공업진흥회 쌍용컴퓨터 등엣 실시하는 3~6개월 코스 '전산교육'에 미취업 대졸자들이 몰리고 있다. 전산인 인큐베이터대학을 졸업한 K씨는 대학 졸업 후에도 직장을 구하지 못해 전전긍긍 했었다. 인문계를 나온 그의 전공이 소위 '인기학과'가 아니어서 어쩔수 없었다. 그러다 K ... ...
어느 틈에 수학이 약학으로 바뀌고
과학동아
l
199004
약학과 3학년의 생활은 고3과 비슷하다. 기초과학에서 응용과학까지 모두 섭렵하려면 어쩔 수 없어…향기로운 봄냄새를 맡으며, 곧이어 눈앞에 펼쳐질 봄꽃 만발한 관악캠퍼스를 생각하니 즐거움이 감돈다. 관악의 겨울이 유난히 춥기때문일까.관악캠퍼스의 봄꽃은 진달래 개나리 벚꽃이 주종이다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03
학문 계속할 연구직 선호, 전체 대학생의 30%를 차지하는 이공계출신, 그 중에서 기업들의 스카웃표적이 되는 노른자위 「이공계엘리트」들의 진로는?지난 2월 16일 거행된 과학기술원 졸업식에는 20대의 여자박사가 3명 탄생해 많은 관심을 쏟았다. 과학기술원이 이제까지 배출한 여자박사가 모두 ... ...
정규교과목시대 맞은 학교컴퓨터교육 컴퓨터, 담당교사 모두 절대 부족
과학동아
l
198912
내년부터 전국 초·중·고교에서 컴퓨터과목이 일제히 정규교과과정에 포함되지만 담당교사와 기자재의 부족으로 편법적인 '학교내 컴퓨터과외' 마저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초·중·고등학교의 컴퓨터교육이 본궤도에 올라서게 됐다. 그동안 농고 공고 상고등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만 정규 교과과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11
□참석자오영환(과기대 교무 처장·전자전산학부 교수)조수정(자연과학부 4년·생물전공/서울 영파여고 3년졸업)김진혁(기계재료공학부 4년·전자재료전공/경기과학고 3년졸업)전정렬(전자전산학부 4년·회로시스템전공/대전과학고 2년졸업)정종민(전자전산학부 4년·정보통신전공/전남과학고 2년졸 ... ...
과학ㆍ기술계의 반응 심각 병역특례 축소에 따른 부작용 우려
과학동아
l
198911
정부는 내년부터 석사장교 연구요원등의 병역특례제도를 폐지 또는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과학기술인력의 양성을 위해 지난 73년부터 실시돼 오던 '병역특례제도'가 내년부터 대폭 축소개편될 것으로 알려져 과학기술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대학원이나 과학기술원의 진학을 눈앞에 둔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10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는 '한글' 우리는 이 한글을 아름답고 보기좋게 다듬는 작업을 소홀히 해오지 않았던가. 한글학자 한갑수씨는 일찌기 한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전세계 1백71개 국가중에서 고유의 글자를 가진 나라는 56개 나라에 불과하고 1백15개국은 자기나라 문자가 없으니 우리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