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술가
예술인
예인
화가
아티스트
예능인
공예가
d라이브러리
"
예술가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
과학동아
l
199607
화상토연결된 학교들은 특정한 주제를 정해놓고 이를 론하기도 하고, 저명한 과학자나
예술가
들이 참여해 학생들과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 또한 학생들은 각 나라의 '대사'로 참여해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의 소식을 세계에 알린다. 이 재단은 이 운동을 추진한공로로 작년 6월 미국에서 'NII상'(National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06
일종인 무대공포증에서만 볼 수 있다. 아더 루빈스타인이나 파블로 카잘스 등의
예술가
들도 평생 이 공포증과 싸워야만 했다.그러나 심리치료가들에 따르면 '이완' 을 골자로 한 긴 훈련을 거쳐야 진정으로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다. 그 결과 환자들은 신체와 조화를 잘 이루고 불안에 잘 적응할 수 ... ...
3. 훈련 : 청소년기 명상과 학습 통해 스스로 두뇌 훈련
과학동아
l
199605
인지 능력을 비교하는 것은 중요한 훈련이다.다음으로 창의적으로 활동했던 과학자나
예술가
의 사고과정을 탐색한다. 그들의 창의적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모델로 삼아 자신의 사고 과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다.마지막으로 두뇌작용에 대한 이해다. 뇌기능이 좌우뇌로 분화돼 있다는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03
될 것이다.7월23일 뉴욕 링컨센터에서 열리는 '브레인 오페라' 도 주목할만한 이벤트.
예술가
과학자 음악가 심리학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추진하는 이 행사는 수많은 의식의 조각들이 결합돼 창조적 사고와 인성을 만들어낸다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오페라의 형식을 빌어 정보기술과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01
오른다.델로스 동맹 이후의 약 50년간은 아테네의 황금시대였다. 여러 나라에서 학자들과
예술가
들이 아테네로 몰려들고, 소크라테스 플라톤과 같은 학자와 소포클레스 아리스토파네스와 같은 작가들이 배출된 것도 바로 이 시기다.또한 이 시기에는 신전 건축이나 조각 회화 등의 예술도 꽃을 ... ...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과학동아
l
199511
갖고 있는 산업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의 총체적인 경쟁력 향상에서도 중요하다. 색채가
예술가
나 디자이너 만의 영역에서 벗어나 공학자 물리학자 화학자 분광학자들이 공동 참여하는 영역으로 발전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
2 알츠하이머병, 마음도 늙는다
과학동아
l
199502
일일 것이다.그렇다면 우리의 마음은 반드시 늙기만 하는 것일까. 역사는 위대한 정치가
예술가
철학자들의 업적 대부분은 노년기에 완성됐다는 것을 말해준다. 괴테가 '파우스트'를 완성한 것은 70이 넘어서였다. 베르디가 오페라 '오텔로'를 작곡한 것은 73세때였고 피카소는 90이 넘어서도 걸작품을 ... ...
금잔화, 살충제 발산 해충 격퇴한다
과학동아
l
199501
했다. 땅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 꽃이라는 생각은 괴테만의 것은 아니다. 수많은 시인과
예술가
들이 꽃을 소재로 노래했고 비유의 대상으로 삼았다.꽃은 인류가 지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언제나 감탄과 찬미의 대상이었고 미적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아름다움의 대명사였다. 꽃이 지상에 없었다면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11
고생물 학자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어쩌면 영화 제작자나
예술가
들은 기존 익룡의 모습과는 다른 새로운 익룡을 그려내야 할지도 모른다.공룡, 익룡과 조류 사이의 정확한 관계를 비롯하여 여러 중요한 문제들이 이 논쟁 결과에 따라 영향받을 수 있다. 그러나 당장의 관심은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04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실형의 출생빈도가 이 예술형의 출현율보다 낮기 때문에 보통
예술가
들 중에는 이 타입에 속하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다. 한국의 미술가들 중 특히 공모전 수상경력이 많은 사람은 예외없이 이런 형이다. 실제와는 거리가 있는 모습으로 그린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