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성
여인
아내
부인
계집
숙녀
아가씨
d라이브러리
"
여자
"(으)로 총 1,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것은 바로 근시란다. 전체 초등학생의 절반 정도가 근시를 가지고 있다고 해. 이화
여자
대학교 의과대학의 최규룡 교수팀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88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는데, 이중 46.5%가 근시인 것으로 나타났지. 잠깐! 눈이 다시 좋아지는 근시가 있다?우리 눈은 가까운 곳을 볼 때 조절 작용이 ... ...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7
어과동 지구사랑탐사대에 무척 기쁘고 즐거운 소식이 날아왔어요. 지사탐 대장님인 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이 ‘여천생태학상’을 수상했답니다.여천생태학상은 기초생태학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뛰어난 차세대 생태학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이에요. 2005년 서울대학교 ... ...
지구사랑탐사대 두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6
. 땅밖에 나와 매미가 되기 전, 굼벵이 시기에도 허물을 여러 번 벗지요.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 매미 탐사를 나왔던 친구들은 기대하지 않았던 광경을 목격하고 큰 감동을 받았어요. 휴대전화로 사진과 동영상을 찍으면서 열심히 관찰했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첫 번째 뉴스레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비법도 깜짝 공개합니다!7월 20일 광주를 시작으로 지역별 현장교육을 다니고 있어요.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과 연구진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찾아다니며 매미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대학교 수준의 깊이 있는 생태 교육은 덤이랍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맛보기!올 여름 매미탐사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4
어떤 생물들이 사라지는지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만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는 ‘알면 사랑한다’는 말을 즐겨 쓴다고 해요. 곤충이 내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한 번이라도 눈을 맞춰 본 친구들은 ‘벌레’라고 더럽게 여기거나 함부로 죽이지 않는답니다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발명기자단이 손잡고 생태 연구에 뛰어 들었다. 앞으로 국립농업과학원과 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지도를 받으며 밀원식물 분포 조사 등 생태복원 연구에 앞장 설 예정이다.탐정수첩 3 스마트폰으로 흔적을 기록하라!꿀벌탐사대 현장교육에서 재빈은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바로 ...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
또래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백분위수표와 비교해 비만인지 진단해요.사춘기 평가
여자
어린이는 가슴과 음모의 발달 정도, 남자어린이는 고환, 음모, 음경의 발달 정도를 보고 사춘기 진행 정도를 평가해요.갑상샘 진찰 목을 뒤로 젖혀서 갑상샘이 부어 있는지 눈으로 보고 만져서 진찰해요.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
과학동아
l
201312
한 번도 없다. 수업이나 근무 시간이 되면 5분만에 마음이 멀리 우주를 유영한다.
여자
친구나 남자친구도 자주 바꾼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성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원인도 ... ...
[과학뉴스]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12
같은 기간에 직장을 다닌 남자보다 텔로미어의 길이가 절반 밖에 되지 않았다. 반면
여자
는 직업의 유무와 텔로미어의 길이가 큰 차이가 없었다.연구에 참여한 알라-무르슐라 박사는 “오랫동안 실직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 여러 가지 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는 많았지만 세포 단위에서 조사한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
비하면 조금 뒤쳐지지만 야생 돌고래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 다가섰어요."장수진(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과학부 행동생태연구실 박사 과정)이렇게 다른데 구분 못하면 섭하지~!돌고래들을 바다로 방류한다고 끝이 아니에요. 먹이는 잘 잡아먹고 다니는지, 돌고래 무리에는 무사히 합류했는지 지켜봐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