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687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10.03
Randy Gladstone 제공 오로라는
태양
에서 날아오는 대전 입자들이 극지방의 대기와 상호작용하면서 아름다운 빛을 내는 현상이다. 목성에도 오로라가 생기는데, 예상했던 것과 다른 원리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네이처’ 9월 6일자에 발표됐다. 우주에서 오로라를 보면 마치 극지방에 빛나는 ... ...
[아름다운 해외 풍경] 잔잔한 바다와 오로라
팝뉴스
l
2017.10.03
그런데 이 사진은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지자기 폭풍(geomagnetic storm)’이다.
태양
의 변덕스러운 활동 덕분에 지구에 나타난 오로라가 수평선 위에 펼쳐져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2017 노벨 생리의학상] 생체 시계의 비밀을 밝힌 과학자들
2017.10.02
미스테리로 남았다. 그림 1. 체내 생체 시계: 식물 미모사의 잎은 낮동안에는
태양
을 향해 펼쳐졌다가 밤이 되면 닫힌다(위). 장-자크 도르투 드 메랑은 미모사를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 계속 두는 실험을 했다(아래). 그 결과 빛과 상관없이 미모사 잎은 하루 주기에 따라 열렸다 닫힌다는 것을 ... ...
시차가 유전자 때문이었다니! 노벨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비밀 밝힌 美 과학자들에 (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존재 가능성은 18세기에 처음 제시됐다. 낮엔 잎을 펴고 밤엔 오므리는 식물 미모사가
태양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밤낮의 주기에 맞춰 잎을 오므리고 펼치는 것을 발견한 것이 시초다. 이 생체시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게 된 건 수상자들 덕이다. 초파리는 해뜰 무렵 우화(羽化)한다. 1984년 홀 ... ...
지구에는 왜 아연 성분이 적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은이나 게르마늄에 비해 아연과 인듐 성분이 더 잘 휘발돼 날아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태양
계 암석형 행성뿐만 아니라 달의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힌 교수는 “이 연구는 작은 미행성체가 높은 에너지로 충돌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것”이라며 ”천체의 ... ...
‘쟁반같이 둥근달’ 추석 이틀뒤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음력에선 달의 변화를 그믐날인 매월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정하는데, 지구와 달,
태양
의 위치가 한 차례 완전히 바뀌는 회합주기는 29.5일이기 때문에 매월 조금씩 보름달 뜨는 시간에 오차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백금과 니켈-철 촉매를 이용해
태양
빛으로 받은 에너지의 약 3%를 수소로 바꿀 수 있다.
태양
전지를 고효율의 페로브스카이트 전지로 교체하자 10% 이상의 변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비율이 실용화가 가능한 수준의 효율이란 점에 주목하고 있다. 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물과 햇빛만 ... ...
블랙홀 충돌로 네 번째 중력파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5배인 블랙홀로, 충돌 결과 만들어진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
의 53배나 된다. 충돌 과정에서
태양
의 3배 질량이 사라졌는데, 이 질량이 중력파로 전환됐다. 비르고가 관측에 합류하면서 중력파 관측 및 검증 시간이 짧아졌다. 라이고로만 관측했던 중력파는 검증 기간만 5개월 가까이 걸렸다. 데이비드 ... ...
소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원료 자체는 충분해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에 유용할 것으로 연구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태양
광이나 풍력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할 경우 만든 전기를 어딘가에 저장한 뒤 필요할 때 꺼내 써야 한다. 최 책임연구원은 “리튬이온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는 가격과 안정성 문제 때문에 1MWh ... ...
수증기로 신재생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GIB 제공
태양
복사에너지의 절반 정도가 지구 표면에서 흡수된다. 이 에너지는 수면의 물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이 수증기를 이용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이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오구어 샤힌 교수팀은 수증기의 화학에너지를 변환시켜 물리적 일을 할 수 있는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