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한두 계절에만 먹을 수 있는 귀한 과일이다. *문태선 선생님은 베트남 호치민 시의 한국국제학교 수학교사로, 틈날 때마다 주변 나라로 여행을 떠나 매스투어를 즐기고 있다. ‘과일의 여왕’이라 불리는 두리안을 아시나요? 바나나, 망고, 파인애플, 키위, 오렌지, 체리 같은 수입과일이 흔해진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전만 해도 한국 해녀는 면으로 된 수영복 하나만 걸치고 물질을 했습니다. 이 교수팀이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15년 제22권 제3호에 발표한 ‘고령 제주 해녀의 행동성 체온조절과 내한내열성의 변화’에 따르면, 손가락 끝의 혈관 확장을 통해 추위를 참는 능력을 검사하는 한랭혈관확장반응(CIVD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일본 교토대에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11년간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식품분석법을 연구했다. 2006년부터 한양대 식품영양학과에서 식품화학과 분자미식학을 연구하고 있다. hime@hanyang.ac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3.4km 연결해 세계 최대 규모다. 2017년 11월, 독일 최대 항구 도시 함부르크의 바람은 한국의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차가웠다. 차가운 바람을 뚫고, 지하철과 버스를 갈아타며 한 시간의 여정 끝에 유럽의 ‘빛 공장’ E-XFEL에 도착했다. 넓은 캠퍼스 안에 드문드문 들어선 건물은 황량함마저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한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SCD)’를 ISS로 보냈다. ISS에 탑재된 첫 한국산 대형 실험 기기로 로봇팔을 통해 ISS의 외부 모듈에 장착됐다. SCD는 ISS에서 진행 중인 ‘크림(CREAM)’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고에너지 입자인 우주선(線)의 성분 분석 역할을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원가는 얼마일까?‘아이폰X(텐)’의 인기가 뜨겁다. 한국 시장 출시 이틀 만에 10만 대가 개통됐다.물론 애플 제품에는 언제나 따라 붙는 논란이 이번에도 불거졌다. 이른바 ‘원가 논쟁’이다. 애플이 제조 원가에 비해 지나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은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IHS마켓이다.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업을 많이 신청했어요. 수업이나 많이 들어서 최대한 배워가자, 이런 생각이었죠.” 한국과학영재학교는 대학처럼 학기마다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신청해서 듣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신청 과목이 많을수록 수업량이 많고, 당연히 학습량도 많다. 내신 성적을 올리기로 마음먹은 경우에는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위해 지난 4년 간 로멜라 연구소에서 개발한 15대의 로봇이 미국에서부터 바다 건너 한국을 찾아 왔어요. 휴머노이드 로봇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기상천외한 로봇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됐지요. 바로 절대 넘어지지 않는 풍선 로봇 ‘발루’와 멀티 이동 로봇 ... ...
- [과학뉴스] 터널 화재 초기 진압 신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줄었다. 또한 기포가 입자와 유독 가스를 포집해 사람이 질식할 위험도 낮아졌다. 유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연구위원은 “특히 터널이나 지하철처럼 화재에 취약한 공간에서 요긴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습니다. 근친 교배 때문인데요. 최 연구사는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한국의 전통개들이 멸종할 수도 있다”며 “개체군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개는 황금색을 못 본다?흔히 개는 흑백만 볼 수 있는 색맹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리 아름다운 빛깔의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