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감┃어서오세요, 우주 레스토랑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세 가지를 가리켜 의식주(衣食住)라고 한다. 하지만 이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 하나만 꼽으라면 단연 식, 먹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옷이나 집은 없어도 당장 죽지 않지만, 먹지 못하면 며칠 안에 건강에 큰 위협이 된다. 물론 우주에서는 우주복과 우주선이 없으면 당장 죽을 수 있지만, 그래도 ... ...
- [JOB터뷰]지구를 지키는 재활용 밴드, 지지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얘기일까요? 재활용 밴드 지지밴드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폐품이 소리를 얻기까지가방 하나를 두고 펼쳐진 토론은 10분 여 동안 이어졌지만 끝내 결론이 나지 않았어요.“직업병이에요. 지금 있는 악기들도 이런 토론과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탄생했답니다. 어떤 팀원은 쓸 만한 재료를 찾기 위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움직여 순환이 이뤄진답니다. 그런데 이 논리에 따르면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각각 하나의 대순환만 일어나야 해요. 하지만 실제로는 위도 30°와 60°를 기준으로 대기의 순환이 나뉘지요. 이는 지구가 자전하면서 위도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이랍니다. 이처럼 위도 30°와 60°를 기준으로 ... ...
- 피플┃룩셈부르크는 왜 소행성 광물 탐사에 나섰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룩셈부르크가 우주로 눈을 돌린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환경이다. 슈나이더 부총리는 “우리의 목표는 이전에 탐험하지 못했던, 우주를 떠도는 생명이 없는 소행성이 지닌 광물 자원에 접근하는 것”이라며 “지구 자연에 끼치는 피해는 없을 ...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산업이 성장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췄다”며 “국내에서 성공적인 우주 스타트업 사례가 하나만 나와도 정부 등의 후속 투자가 봇물 터지듯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대표는 유튜브 채널 ‘스페이스 이디엇’을 개설해 대중에게 우주 기술을 알리는 데도 열심이다. 그는 “초소형 위성 벤처,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강하니까 외계 생명체의 몸이 좀 더 단단하고 뻣뻣하지 않을까. 외계생명체를 찾는 또 하나의 중요한 방법은 외계생명체가 보낸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그동안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했다거나, 그들이 탄 미확인비행물체(UFO)를 봤다거나, 심지어 그들에게 납치된 적이 있다고 주장하는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초은하단을 포함한 주변 초은하단의 특이속도를 계산한 결과, 세 개의 초은하단이 하나의 거대인력체에 이끌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2014년 툴리 교수는 세 개의 초은하단을 묶어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이라 명명하고, 초은하단을 새롭게 정의했다. 기존의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이제 초은하단의 ... ...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있다. 이 속도면 약 45억 년 뒤 우리은하와 충돌할 것이다. 두 은하가 만나면 결국 하나의 은하로 합쳐질 가능성이 농후하다.천체들은 이렇게 끝이 있기 마련인데, 과연 우주도 그 끝이 있을까. 우주는 빅뱅 이후 계속 팽창했다. 팽창하는 속도는 오르내렸지만 지속적으로 팽창했다는 건 자명한 ... ...
-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 해왕성Part5. 소행성 달 Moon달은 우리가 사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이자 지구의 하나뿐인 자연 위성이다. 지구와 비교해 질량은 0.0123배, 중력은 0.166배로 작다. 지구에서 몸무게가 65kg인 사람이 달에 가면 10.79kg이 된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한다. 태양의 빛이 닿는 표면이 반사돼 빛나는 ... ...
- [수학뉴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수학자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정리를 내놓습니다. 그린-타오 정리는 소수 사이의 간격에 대한 내용으로 수학계 난제 중 하나인 쌍둥이 추측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정수론 분야의 주요 성과라는 평가를 받지요. 이뿐만 아니라 편미분방정식, 조합론, 조화해석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06년 필즈상을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