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집합으로 이해하는 곤충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일반적으로 곤충을 포함하는 절지동물문에 해당하는 동물이고, 곤충은 절지동물문의
일부
인 곤충강을 뜻하므로 벌레는 곤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라고 볼 수 있다.곤충을 분류하는 기준은 생김새, 특정 부위의 유무, 생활 방식 등으로 다양하다. 예를 들어 날개가 있는 곤충을 유시아강, 날개가 ... ...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공식이다. 로켓은 연료를 태워 생긴 가스를 분사해 움직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로켓의
일부
란 연료가 된다. 치올코프스키의 로켓 공식을 간단한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공식으로 푸는 궁금증 ❶ - 더 세게 내뿜을수록 좋다로켓은 연료를 태워 만든 뜨거운 가스를 분사구를 통해 빠른 속도로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1단 로켓을 사용했다고 나로호가 우리 것이 아니라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라며 “
일부
에서 일고 있는 러시아와의 우주협력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어렵게 획득한 첨단 기술을 쉽게 다른 나라에 넘겨주는 나라는 그 어디에도 없다”며 “러시아가 기술 이전에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분해된다. 지방을 둘러싸고 있던 유화제 막이 위에서 거의 파괴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는 소장으로 내려갈 때까지 분해되지 않는다. 모리스 박사는 이 점에 착안해 유화제 코팅막이 소장의 끝부분인 회장에 이르기 전에는 절대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유화제를 이루는 물질을 ... ...
컴퓨터 바이러스, 사람 몸에도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그는 또 “상당수 환자들이 몸 안에 삽입한 인공심장과 인공달팽이관을 자기 몸의
일부
로 간주한다”며 “만일 이들 장치가 컴퓨터 바이러스에 걸릴 경우 자신이 감염됐다고 여길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고 덧붙였다.과학자들은 머지않아 이식기술이 보편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서는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수도 있다. 생명과학 Q1. 정온동물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화학에너지의
일부
를 열에너지로 변환한다.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과 몸무게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정온동물의 몸무게와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을 그래프로 표현했다. 그래프를 참고해 다음의 문제를 해결하시오.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받진 않을까 이 박사에게 물었다. 이 박사는 “그런 부분이 전혀 없지는 않다”며
일부
인정했다. 하지만 그는 “현재 산양 복원 사업의 가장 큰 목표는 개체수를 늘리는 일이므로 계류장은 가능한 한 산양이 숲에서 죽는 사고를 막고 보호한 산양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살아갈 수 있게 최소한의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콜린스 원장은 최근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SNP 칩은 유전성이 있는 질병의
일부
만을 확인할 수 있지만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이를 반영해 소비자에게 직접 유전적 위험성을 예측해주는 서비스는 얼리어답터에게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평가했다. 세계 최초 전체 ... ...
붉은 악마 사진만 봐도 함성이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악마의 사진을 보면 지금도 그때 함성이 들리는 것 같다는 사람이 있다. 이런 현상은
일부
축구 광팬에게만 나타나는 걸까.미국 남캘리포니아대 안토니오 다마지오 교수는 시각적인 자극만으로 뇌가 소리 자극을 받았을 때와 동일한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8명에게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단백질을 생산하고 번식까지 했다. 지금까지 미생물 공학자들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일부
조작해 새로운 단백질을 생산하거나, 특정 물질의 생산능력을 배가시킨 적은 많았다. 그러나 이처럼 게놈을 통째로 바꿔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전문가들은 맞춤형 인공 박테리아가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