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찾아낸 이후, 지금까지 약 45만 개의 소행성이 발견됐어요. 이들은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 머물러 있어요. 이 밖에도 목성의 공전 궤도와 태양계 카이퍼 벨트에서도 소행성 무리가 발견됐답니다.그런데 소행성대에 있던 소행성 일부는 가끔 궤도를 벗어나기도 해요. 예를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또 접근해서 중력과 밀도를 측정해 보니 그 값이 매우 낮았어요. 소행성을 이루는 알갱이 사이에 공간이 많았거든요. 이건 아주 작은 알갱이들이 작은 중력으로 서로를 끌어당기며 뭉쳐서 큰 소행성이 됐다는 증거랍니다. 지금은 태양계에 있는 대부분의 소행성이 이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을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빛을 낸답니다.미국 코넬대학교 로버트 셰퍼드 교수 연구팀은 잘 늘어나는 실리콘 층 사이에 빛을 내는 얇은 장치를 넣었어요. 이 장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어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변화가 생기면 전기가 흐르면서 빛이 나요. 이 인공피부는 원래 크기의 6배까지 늘어나고, 둘둘 말거나 길고 ... ...
- [헷갈린 과학] 자두 VS 살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물론 꽃자루가 2cm 정도로 길다는 점도 같답니다. 하지만 자두꽃은 꽃잎 사이가 멀어서 그 사이로 꽃받침이 보이기 때문에 벚꽃과 구분할 수 있어요.잘 익은 자두 열매는 노란색이나 붉은색을 띠어요. 자두 열매의 크기는 탁구공만 한 것부터 테니스공만 한 것까지 다양하지요. 자두의 과육은 연한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완주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사는 ‘꿀벌 마야’야. 지난 달 5월 28일, 꽃과 벌집 사이를 열심히 날아다니며 꿀을 따고 있는데 낯선 30명의 사람들이 몰려들었어. 전국각지에서 모여든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라지 뭐야? 이 사람들은 도대체 뭐 하러 여기까지 온 걸까? 인간의 오래된 친구,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밧줄 타기 달인 ‘ 줄이야 로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우헤헤헤헤!” 썰렁홈즈, 홀로 남겨지다?썰렁홈즈가 ‘줄이야 로프’를 붙잡아 둔 사이 경찰이 헬기를 타고 옥상으로 와서 사건은 해결됐다.“썰렁홈즈, 날 이꼴로 만들다니…. 하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란 걸 기억해라!”헬기가 떠난 후 썰렁홈즈는 깨달았다. 높은 건물 옥상에 자신만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해야 할까요? 그럴 땐 페나키스토스코프 바깥 기둥에 길쭉한 구멍을 뚫어요. 구멍과 구멍 사이의 종이가 거울의 모서리 역할을 하는 거예요. 이후 빨대를 돌리며 구멍을 보면 거울에서 보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림이 움직여 보인답니다.깜빡이는 빛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도 있어요. ‘3D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1947년, 우간다붉은털원숭이에게서 처음으로 발견된 바이러스예요. 당시에는 원숭이 사이에서만 감염되는 줄 알았지만, 1952년에 아프리카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처음 나타났지요.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서 감염된 거였어요.보통 지카바이러스에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코뿔소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결국 멸종위기에 처하고 말았답니다. 2009년부터 2011년 사이에만 약 50톤의 상아가 거래될 정도였어요. 친구들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동물들을 사랑해 주세요~!상아상아는 코끼리의 송곳니를 뜻하며, 영어로는 ‘아이보리(ivory)’라고 해요.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렵습니다.”올해 7회째를 맞는 전국 화재조사 심포지엄은 이만큼 전국 화재조사관들 사이에서는 권위가 큰 대회다. 2007년 당시 소방방재청에서 화재조사관들의 전문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처음 제안됐고, 2010년에 1회 대회가 열렸다. 이정섭 부산소방안전본부 현장 대응과 조사관은 “해가 갈수록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