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움직인 것은 영국이다. 영국 인간 수정 및 배아관리국(HFEA)은 2011년 세 부모 아이에 대한 보고서를 내놓으며 과학적 안정성을 검증했다. 너필드 생명윤리 위원회(Nuffield Council on Bioethics)는 세 부모 아이가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2012년 발표했다. 위원회는 “미토콘드리아를 교체하는 것이 사람의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큰 동물이 개입했거나 사람에 의한 손상일 가능성이 높다.시체에 남은 손상 흔적만을 보고 종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은데 예외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있다. 필자가 최근에 논문으로 발표한 너구리다. 너구리는 다른 갯과 육식동물과 다르게 내장보다 근육을 좋아해서 팔이나 다리에 먼저 접근한다.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깨쳤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미생물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의 겉모습만 보고 존재의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나타나는 다양한 41가지 현상을 진화심리학의 관점으로 관찰해 기록한 ‘한국 사회 보고서’다. 한 번이라도 접해 본 사람은 잘 알겠지만, 진화심리학은 흔히 우리가 척결해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나쁜’ 행동을 본성이라고 설명해 이에 면죄부를 준다는 비판을 받는다. 각 장의 결론만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로줄이 길게 나 있어요. 옆면에도 마찬가지로 각각 세로줄이 있어서 등의 무늬만 보고도 참개구리인 것을 쉽게 알 수 있지요. 다른 개구리들에 비해 머리가 뾰족하고 고막이 뚜렷한 것도 특징이랍니다.수컷 참개구리는 턱 밑 양쪽에 울음주머니가 1쌍 있고 암컷보다 덩치가 작아요. 또 짝짓기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이 게임을 좋아하는 이유로 단연 음악을 꼽고 있답니다. 초보자는 장애물을 보고 겨우겨우 박스를 점프시키지만, 고수가 되면 쿵쿵쿵쿵 리듬과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끌어당기는 힘인데 중력 아니다?이 게임뿐만 아니라 ‘서브웨이 서퍼’나 ‘쿠키런’, 그리고 이미 소개한 적이 있었던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사한 ‘장기등기증자 차별·불이익 현황 및 개선방안(2012)’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는 생존 기증자의 동의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기증 전 정신적 평가 과정이 없고, 생존 장기 기증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독립된 기증자 권익보호자(Independent Donor Advocate)’ 제도도 전무하다. 무엇보다 96명의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만들기도 했다.1637년, 페르마는 아리스메티카의 8번 문제인 피타고라스의 정리(x2+y2=z2)를 보고 있었다. ‘여기서 지수를 3 이상으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라는 발상이 페르마를 사로잡았다. 그는 피타고라스의 방정식을 변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해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 뒤 8번 문제 밑에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글루탐산만이 아니라 도파민,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정확한 작용 원리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부분들이 많다.테아닌만이 아니라, 다른 성분들에도 주목해야 한다. 슬로우 카우에는 캐모마일, 길초근, 시계초 등 다섯 가지 물질이 더 첨가돼 있다.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파고가 맞붙으면?그럼 알파고의 딥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알파고는 기보를 보고 다음 수를 예측하는 과제부터 시작했어요. 인간이 둔 다음 수를 정확히 예측하면 ‘성공’, 틀리게 두면 ‘실패’지요. 그럼 성공한 수가 더 중요한 정보로 남아요. 알파고는 이런 식으로 기보 16만 건을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