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먼저 알려지면서 한마디로 ‘뜬’ 게임은 없었다.국내 만화가 신일숙씨의 원작을
바탕
으로 만들어진 리니지는 국내 기술로도 완성도가 높은 네트워크 게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전세계에 보여준 게임이다. 게임 주인공은 각각 기사가 돼 마을을 여행하면서 무기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적과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 방주는 수천년 간 여행을 계속해야 할 것 이라고 생각했다.치올코프스키의 생각을
바탕
으로 방랑우주선이나 우주방랑도시 같은 아이디어가 탄생했다. 외부 의 도움 없이 자급자족이 가능하려면 이 우주선들은 거대한 규모를 갖춰야 한다. 그래서 인공적 으로 우주선을 만들지 않고 소행성 ... ...
볼테르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철학자, 사상가, 문인이 주축을 이룬 계몽철학자들은 무지로부터 깨어나 이성과 지식에
바탕
해 사고하려고 노력했다.계몽철학자들은 특히 뉴턴 과학을 중시했다. 이들은 뉴턴이 진리를 추구한 방식이 가설이나 독단 없이 수학적, 합리적, 실험적 방법만을 사용한다고 생각했다. 또 이런 방법을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97년 하반기부터 '신나는 토요일'이라는 초등학생 대상의 영재학교를 운영해 온 노하우를
바탕
으로 과학영재교육센터 운영에 자신감을 표명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의 주 대상이 초등학생이라는 점이 다른 대학과의 차이다. 공교육 체계의 1단계인 초등학교에 서부터 과학영재교육을 시작해야 ... ...
시험 전날에 먹는 찹쌀떡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도 넓게는 이러한 유감주술에 속한다. 시험날에 바나나나 미역국을 먹지 않는 금기의
바탕
에는 “바나나나 미역은 미끄러운 것이므로 그것을 먹은 사람은 미끄러진다, 즉 시험에 떨어진다”는 생각이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미역은 조혈작용이 뛰어나고 위에 부담을 주지 않아 오히려 수험생의 ... ...
2. 진화론의 산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1845년 출판된 ‘비글호 항해기’에 기록했다. 또한 갈라파고스에서 관찰한 결과를
바탕
으로 생물진화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1859년 ‘종의 기원’을 출판했다. 갈라파고스 제도를 ‘진화론의 섬’, ‘다윈 섬’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갈라파고스는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는 최초의 초음속 대륙횡단비행이었다. 9천시간에 이르는 비행기록과 전투경험을
바탕
으로 글렌은 1959년 4월 미국 최초의 우주조종사 후보로 선발됐다.1962년 2월 20일 그는 마침내 세퍼드와 그리솜에 이어 미국인으로는 3번째로 우주여행에 나섰다. 그가 탑승한 우정 7호(머큐리 우주선)는 4시간 5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행성의 운동에 관한 케플러의 법칙은 그의 스승인 티코 브라헤가 관찰한 것을
바탕
으로 한 것이다. 뉴턴은 달과 지구 사이에 작용한 힘이 태양과 천체 사이에도 작용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럼으로써 케플러가 말했던 공전주기의 제곱이 타원궤도의 긴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조화의 ... ...
1. 진화론의 전주곡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아버지는 다윈의 비글호 항해를 허락해 주었다.한편 피츠로이 함장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
으로 비글호를 개조했다. 네문의 대포를 없애 공간을 넓혔고 세번째 돛대를 세워 항해속도를 높혔다. 배 밑바닥에는 구리판과 모전(양탄자)을 대어 방수장치를 보강했으며 피뢰침도 설치했다. 함장은 사비로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남산 소나무 숲의 쇠퇴가 꼭 산성비 때문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또 남산 숲의 본
바탕
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광릉 숲과 유사한 특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도 있다.남산이라는 좁은 면적의 숲을 두고도 이처럼 보는 입장에 따라서 전혀 다른 결론을 낼 수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