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운전 습관을 그대로 학습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심 교수팀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 두 대의 주행 방법은 서로 다르다. 자율주행자동차를 훈련시킨 연구원의 운전 습관을 AI가 그대로 학습했기 때문이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최근 ‘포뮬러1(F1)의 황제’로 불리는 루이스 ... ...
- [Tech] 그래픽 카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역시나입니다. 영상 신호를 직접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GPU는 엔비디아에서 개발한 ‘GP104-200 NVIDIA GEFORCE GTX 1070’ 제품이 쓰였습니다. PCB 기판 가장자리에는 DVI, HDMI 등 영상신호를 입출력하는 포트가 5개나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HDMI 포트가 2개인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가상현실(VR) 게임용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소를 덧씌우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수소를 저장하고 수송할 수 있는 나노 소재를 개발했다. 손 교수는 “나노격자 구조체는 표면적이 넓어서, 그만큼 수소를 많이 담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나듐 산화물은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격자 구조로, 여기에 수소가 들어가면 수소의 전자가 금속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높은 이유그렇다면 왜 한국 청년의 실업률이 이렇게 높을까. 이 의문을 푸는 데 한국개발연구원에서 2014년 발간한 자료 ‘한국은 인적자본 일등 국가인가?’는 꽤 중요한 힌트를 준다. 인용 문구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오른쪽 그래프가 도움이 된다. 4년제 대졸자들을 소득 분위 별, 다시 말해 소득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떤 일을 해 나갈 수 있을지 고민했다.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외면 받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소외 질병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고민해 나간 것이다. “소외 질병을 해결하기 위한 질병 사업을 자세하게 계획했어요. ‘NMN by 2060(No More Neglected disease by 2060)’이라고 이름도 지었습니다.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드라이브 하는 스타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는 거예요.스페이스X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는 팰컨 헤비보다 큰 초대형 우주선을 개발할 계획도 갖고 있어요. 머스크는 “내년부터 시험 비행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빅 팰컨 헤비는 여러 장비는 물론, 사람까지 수송할 수 있는 우주선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꿀벌로 코끼리를 쫓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지에서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살아요. 그런데 산림 개발로 인해 코끼리가 살 수 있는 초원이 점점 줄자, 사람이 사는 마을에 코끼리가 나타나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주민들은 코끼리를 쫓아내기 위해 마을 주변에 고춧가루를 뿌리거나 가시덤불을 치고, 밤새 냄비를 두드리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타이타늄 봉을 이용해 화강암을 튼튼하게 연결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답니다. 동탑은 9층, 서탑은 6층인 이유는?다음으로 미륵사지 동탑을 찾았어요. 새하얀 돌들이 9층까지 쌓여 있어서 멀리서도 발견할 수 있었지요. “아까 본 서탑과 굉장히 비슷하게 생겼죠? 그건 완전히 무너져 있던 동탑을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올해 3월, 한 케이블채널의 인터넷 생방송에서 인기 보이그룹 ‘워너원’의 대화 내용이 생중계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방송 시작을 인지하지 못한 멤버들의 대화 ... 거쳐 지금보다 훨씬 똑똑해질 전망”이라면서 “조만간 20개국 언어를 통역하도록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스라엘 스타트업 아다스카이(Adasky)는 고화질 적외선 열화상 센서 ‘바이퍼(Viper)’를 개발했다. 기존에 자동차에 쓰이는 적외선 카메라의 화질은 최신 스마트폰 카메라 화질의 1만 분의 1 정도(0.08 메가픽셀)였지만, 바이퍼는 화질을 4배 가까이 끌어 올렸다(0.3 메가픽셀). 김 교수는 “열 감지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