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5,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더러운 파리가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0409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미 조지아대 진화유전
학자
인 다니엘 프로미슬로 교수는 “박테리아가 노화의 유전학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일지도 모른다”며 “몸에서 박테리아를 없애는 게 무조건 좋은 줄 아는 사람들은 이번 연구결과를 곰곰이 생각해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09
생각하는 이론 1920년 J 라모가 태양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제창했는데, 그후 여러
학자
에 의한 보충 연구로 지구자기장의 생성과 특징적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가동(可動)코일 마이크로폰 진동판이 영구자석에 의한 고정자기장 내에 설치된 음성코일(voice coil)에불어 있다 음파를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09
그 원인을 찾는다.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몇가지 실험이 실시됐다. 사회심리
학자
솔로몬 애쉬는 사람들의 동조성향이 얼마나 일어나는가를 실험을 통해 알아봤다. 그는 바람잡이 4명을 일반 피험자들과 함께 섞은 뒤 A부터 C까지 이름이 붙어진 3개의 선이 있는 카드를 보여줬다. 그리고 3장의 카드에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아니라 지구상에 생명체가 탄생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분자생물
학자
인 영국 에든버러대 리차드 래테 교수는 달의 존재로 발생한 강한 조석력이 원시 지구에서 생명이 탄생하게 된 환경을 조성했다고 천문학 저널 ‘이카루스’ 3월호에 발표했다.지구에 첫 생명체가 나타난 3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09
이 중 적색거성에 속하는 수개의 별은 절대등급이 매우 밝고 크기가 대단히 커서 천문
학자
들의 관심이 돼왔다.공개관측 단골메뉴이제 본격적으로 이중성단을 하늘에서 찾아보도록 하자.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은 그리스 신화의 영웅인 페르세우스가 오른팔에 들고 있는 칼의 끝부분에 해당한다. ... ...
피터팬은 환상이 아니라 실제
과학동아
l
200409
유아화 과정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자연에 적응해 살아남게 됐는지를 보여준다.동물
학자
인 저자는 나이가 마흔에 이르렀는데도 다른 동물들에 비해, 스스로가 ‘성숙한’ 수컷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고백하면서 이런 현상의 원인을 추적해간다.커다란 두개골 속에 뇌가 들어있고, 얼굴 골격에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08
없을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었다. 하지만 1999년 11월 미국 노트르담대의 한국인 천체물리
학자
이선홍 교수팀이 쌍성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하면서 이전의 추측이 잘못됐음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우주에는 여러 별들이 쌍을 이뤄 돌면서 행성을 거느린 태양계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08
분포해 있음을 발견했다.이 성운에 북아메리카성운이라고 이름 붙인 사람은 독일의 천문
학자
막스 울프다. 사진이 천문학에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1890년 12월 울프는 하이델베르크에서 처음으로 이 성운의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서 성운의 모습은 북아메리카대륙과 흡사했다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08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과 경험에서 우러난 기술 모두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과
학자
와 도예가가 서로 우열을 가리는 경우는 있었지만 공동연구를 진행한 것은 처음이었다.김 교수는 제자 진문석 교수(동신대 전자공학과)와 함께 강진군 고려청자사업소 이용희 연구개발실장의 도움을 받기로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08
년대 처음 위키 소프트웨어가 등장했을 때만 해도 성공이 불투명했다. 범죄
학자
나 도시공
학자
들이 걱정했던 ‘깨진 창문 신드롬’, 즉 깨진 창문을 그냥 내버려두는 마을에서는 장난삼아 창문을 더 깨는 개구쟁이들이 속출한다는 이론처럼 실패하리라는 예측이 많았던 것이다. 하지만 위키처럼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