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을 전달하는 뉴로 헤드셋
과학동아
l
200406
생활가전을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제품 ‘뉴로 헤드셋’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인간
의 뇌파와 눈동자를 이용해 무선으로 원격에서 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림스테크널러지(주)는 5월 21일 뉴로 헤드셋을 공개했다. 이날 림스테크널러지(주)의 연구원이 머리에 쓴 뉴로 헤드셋으로 장난감을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06
죽일 수 있다.또 천연물질이라 인체에 독성도 거의 없는 것으로 증명됐다. 연구팀이
인간
의 적혈구나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토종 개구리 항생제는 적혈구나 세포를 공격하지 않았다.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세균만을 죽인 것이다.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3년 정도의 임상실험을 ... ...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06
평소에는 수축돼 부드러운데 발기되면 마치 뼈같이 단단해진다. 이는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
이 수렵을 할 때 음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쥐나 개와 같은 동물의 음경에 연골이나 뼈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성적인 반응은 혈관계, 신경계, 호르몬계가 복합적으로 ... ...
"
인간
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06
나아가
인간
성 없이는 철학이 있을 수 없고, 올바른 과학도 존재할 수 없다고 믿었다. ‘
인간
을 위한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 라는 브로노우스키의 생각은 1973년에 나온 이 책이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빛을 잃지 않는 이유를 말해준다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06
모자란 동물이 아니다. 새는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한 동물이며, 새가 떠난 곳에는
인간
도 살 수 없다는 걸 알아야 한다. 지구상에 새가 살지 않는 곳은 아무데도 없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종류만도 8천5백63종에 이른다.새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공동묘지를 내집 드나들 듯 하던 때가 있었다. 잡음을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05
논쟁을 접어두고 이제까지 나온 연구결과만을 두고 생각해보자.가장 간단한 방법은 물론
인간
복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윤리적 논란을 제쳐두고서라도 한사람의 체세포를 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사람의 유전자를 가진 아기를 원하는 경우엔 의미가 없다. 고노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주목받은 ... ...
유전자 내 인생을 얼마나 좌우하나
과학동아
l
200405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실이
인간
의 자유의지를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들이 자신의 삶을 설계하고 생활해나가는데 유전적 정보가 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유전자 내 인생을 얼마나 좌우하나 01.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05
유전자가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질병으로 사망하기 때문이다.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인간
의 운명이지만 질병유전자를 밝히는 노력은 병의 발생을 늦추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길을 찾아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루게릭병21번 염색체 _ SOD1유전자 이상으로 이 효소가 결핍되면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벽과 같은 존재다. 이들 곤충에게는 중력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표면장력이지만
인간
에겐 별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이 표면장력을 일상생활 속으로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 각종 제품을 점점 작게 만들어가면서 중력에서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으로 점점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05
분야라는 보고서를 냈다. 선진국들이 너도나도 바이오분야를 적극 육성하고 있는 것도
인간
의 삶에 가장 가까운 분야라는 학문적 특성 때문이다.이광형 교수는 “지금의 IT기술만으로는 10년뒤 중국과 후발 개도국들에게 주도권을 빼앗길 수밖에 없다” 고 말한다. 우리와 이들 나라간의 경쟁력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