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120건 검색되었습니다.
홍합·멍게 특성 모사 암세포만 집중 공격 나노항암제 개발
연합뉴스
l
2021.12.17
모사해 암세포만 집중 공격하는 '나노 항암제 폭탄'을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
공학과 차형준 교수·정연수 박사 연구팀이 경북대 융합학부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홍합의 접착단백질, 빛과 전자를 이동시키는 멍게의 카테콜·바나듐 복합체를 모방한 광 ... ...
"실리콘 젖꼭지 스팀소독 반복하면 미세플라스틱 발생"
연합뉴스
l
2021.12.17
[연합뉴스 자료사진] 또 O-PTIR 마이크로 분광기를 이용해 관찰한 실리콘 젖꼭지 표면에는
화학
적인 변형도 관찰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스팀 소독한 실리콘 젖꼭지를 1년간 사용한 영유아는 66만개 이상의 탄성중합체(elastomer) 유래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고 ... ...
한반도서 지진 위험 가장 적은 지역으로 분류된 제주도, 재평가 들어가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움직인 단층을 알아내 지진위험도를 파악하고 발생 가능성이 큰 곳에는 원자력발전소나
화학
공장 같은 위험시설을 제한하기 위해 활성단층지도 제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도 원자력발전소 부지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1970년대 초반부터 활성단층(제4기) 지도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것은 인류가 50년 넘게 풀지 못한 난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영국의 생
화학
자 존 켄드루는 1957년 X선을 활용해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의 구조를 밝혔다. 인류가 처음으로 구조를 해독한 단백질이다. 이후 과학자들은 X선과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약 10만여 종의 ... ...
[우주산업 리포트] 중국판 GPS 베이더우가 전세계 사용자 확대에 나서는 이유
2021.12.17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중국과학원(CAS)은 지난달 26일 “창춘
화학
정밀기계·물리연구소(창춘연구소)가 베이더우 위성용 대형 레이저 통신 장비로 위성과 지상 간 고속 레이저 통신 실험을 마쳤다”라고 밝혔다. 통상 베이더우 위성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지상 사용자에게 위치, ... ...
로버는 화성서 물 흔적 찾고 헬리콥터는 3km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뒤덮인 커다란 감람석 결정이 드러났다. 케네스 팔리 캘리포니아 공대(칼텍) 지구
화학
과 교수는 “마그마가 천천히 굳어졌을 때 나타나는 암석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 암석에는 물의 흔적도 나타났다. 팔리 교수는 “형성 후 물에 의해 여러 번 변한 흔적이 있다”며 “이 흔적의 발생 연대를 ... ...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IBS 단장, 막스플랑크 '칼 프리드리히 본회퍼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수여하는 하인리히 로러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시상식은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
화학
연구소에서 17일 수상자 초청강연과 함께 열린다. 상금은 1만 유로(약 1336만 원)다 ... ...
[랩큐멘터리]생명현상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제어장치, 코로나 대응 선봉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현상을 제어하거나 생명체 내부 기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정욱 포스텍
화학
공학과 교수 바이러스의 리보핵산(RNA)을 활용해 코로나19를 진단하는 원스텝 기술은 그 대표적인 사례다. 기존 표준 기술인 역전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RT-PCR)은 RNA를 DNA로 만드는 역전사 과정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화학
연, 구조색 인쇄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지난달 24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조재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화학
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는 배터리 음극 소재 기술으 개발했다고 밝혔다. 실리콘을 배터리 음극 소재로 사용할 경우 흑연보다 용량이 10배 커진다. 다만 충방전 중 부피변화가 심해 소재에 기계적 ... ...
[과학게시판] '이륜차 사고로부터의 국민 안전 확보'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국내의 연구환경과 경력 경로를 소개하는 행사다. 2018년부터 매년 개최됐다. ■한국
화학
연구원은 14일 디엘파마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전 된 기술은 항암제 후보물질이다. 암 유발 단백질 분해를 활성화시키는 형태의 새로운 분자접착제로 기존 분자접착제 후보물질보다 암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