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70건 검색되었습니다.
깜짝 놀라게 만든 기내식
팝뉴스
l
2019.08.24
제공 이것은 도대체 무슨 음식일까. 샌드위치라고 한다. 그런데 빵 사이에
작은
베이컨 한 장이 달랑 있다. 이런 음식을 받아든 사람의 실망감은 굉장히 클 것이다. 사진은 미국 LA에서 중국 상하이로 날아가는 여객기에서 촬영된 것이라고 한다. 사진 공개자는 13시간을 비행하며 갔는데,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방사광가속기는 태양보다 100경(京) 배 밝은 빛으로 살아있는 세포나 단백질처럼 아주
작은
물질의 구조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비다. 라민 단백질 4개가 결합한 모습(위)과 단백질 사량체가 서로 결합하는 모습(아래)이다. 라민 단백질은 사량체의 끝이 악어클립 같은 집게 구조로 형성되며 ... ...
손바닥보다
작은
원숭이 두개골이 밝혀준 두뇌 진화 비밀
연합뉴스
l
2019.08.22
떨어지는 등 서로 반비례 관계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칠레세부스는 후각 중추가
작은
데도 시각 중추가 이에 반비례해 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시신경 연결부위의 크기로 볼 때 주행성인 것으로 추정됐다. 또 뇌 피질 표면에 있는 주름에서 접혀들어간 고랑이 적어도 7쌍에 ... ...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앉아 있다. 우아하게 날갯짓을 한다. 자세히 보니 진짜 나비가 아니다. 나비 날개를 단
작은
기계였다. 나비뿐만이 아니다. 가지 끝에 매달린 나뭇잎이 바람에 살랑이는 동작, 꽃이 탐스런 봉우리를 활짝 여는 동작이 기계의 움직임으로 부드럽게 재현됐다. 이렇게 자연계에서는 흔하지만 로봇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변하는 시약을 개발했다. 검사 방법은 이렇다. 9일차 된 달걀에 레이저로 바늘구멍보다
작은
지름 0.2㎜의 구멍을 뚫어 요막액 한 방울을 뽑아낸다. 요막액은 배아를 둘러싼 요막강을 채우는 액체로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다. 채취한 요막액을 시약과 섞으면 암컷일 경우 색이 변한다. 셀레그트 ... ...
"중성자별 블랙홀 병합 중력파 관측" 과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중성자별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고 사이언스는 밝혔다. 하지만 이전에는 알지 못하던
작은
블랙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연구자들은 이번 관측을 통해 밀도가 높은 중성자별에 물질이 얼마나 단단하게 축적돼 있는지 등 중성자별의 특성과 구조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국내 연구진,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중간 밝기의 별을 신성, 낮은 밝기의 별을 ‘왜소신성’이라고 부른다. 이 가운데 가장
작은
왜소신성은 상대적으로 어두워 관측이 어려운데, 국내 연구팀이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먼 왜소신성을 관측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김상철 은하진화그룹 선임연구원과 이영대 ... ...
별과 가까운 '슈퍼지구'에선 생명체 살기 힘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발견된 LHS 3844b의 상상도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태양보다
작은
별(항성) 가까이에서 발견되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인 '슈퍼지구'에서는 생물체가 살아남기 어렵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지구보다 조금 큰 암석형 행성인 ‘슈퍼지구’는 지구처럼 표면이 단단해 ... ...
'강강수월래하듯 결합' 탄소 원자만으로 만든 가장
작은
고리 분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번에 합성한 탄소 18개의 고리 분자가 탄소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고리 모양 분자”라며 “고해상도 원자힘현미경을 이용해 확인한 결과, 모든 탄소가 삼중결합과 공유결합을 번갈아 가며 서로 결합해 고리 형태를 이뤘다”고 밝혔다. 이중결합만으로 이뤄진 고리가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초원으로 나온 인간이 얻은 뜻밖의 이익이 있었다. 바로 모기와의 이별이다. 모기는
작은
물웅덩이가 있어야 살 수 있다. 작고 따뜻한 물웅덩이에 산란하기 때문이다. 모기 알은 곧 장구벌레가 되고, 이후 용화 단계를 거쳐 번데기가 된다. 수면에 붙어있던 번데기는 며칠 후에 모기가 되어 창공을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