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붉은 오로라가 9일간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태양 입자가 어떤 기체와 반응을 일으키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산소와 부딪힐 경우 붉은
빛
을 낸다. 산소가 풍부한 저위도 부근에서 오로라가 발생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연구팀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청 왕조의 기록’ 등 고문서 111건을 분석한 결과, 붉은 오로라가 1770년 9월 1 ... ...
머리카락 만큼 가는 섬유형 OLED, 입는 디스플레이 상용화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쉽다. 또 연구에서는 황색
빛
을 내는 발광층 재료를 썼지만 재료만 바꾸면 다양한 색상의
빛
을 구현할 수도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권선일 KAIST 박사과정 연구원은 “향후 더 큰 면적으로 섬유형 OLED로 직물을 만들면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미생물 메아리로 질병의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세포들의 활동양상을 제대로 찍을 수 없다.
빛
이 세포층을 통과하며 변질되기 때문이다.
빛
대신 소리를 이용하는 기존의 초음파 기술 역시 세포 수준의 미생물을 관찰할 수는 없었다. 임산부가 초음파를 통해 태아를 관찰하려해도 수정후 약 40일이 지나 배아세포가 분화돼 2~3㎜ 이상 크기가 돼야 ... ...
별의 생성과 소멸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블랙홀의 ‘질량’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2
이력에 대해서는 미국 텍사스에 있는 호비 에버리 망원경(Hobby-Eberly Telescope)으로 측정한
빛
의 스펙트럼을 활용했다. 마틴 나바로 박사는 각 은하의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이어 분광 데이터에 맞는 별의 조합을 찾아 별이 만들어진 과정을 복원했다. 그 결과 별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는 뚜렷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색소를 탄 밀도가 낮은 맹물을 부어 레이어드 라테를 재현한 것이다. 이때 용기 측면에서
빛
의 흡수 스펙트럼을 찍으면 높이에 따른 혼합비율 (파란색 맹물과 무색 소금물)을 알 수 있으므로 형성되는 층의 구조를 명쾌히 분석할 수 있다. 변수를 바꿔가며 무색 소금물에 파란색 맹물을 붓는 ... ...
[짬짜면 과학 교실] 그믐과 보름
2017.12.30
또한 물과 산소 등의 공기가 충분해 생물이 출현할 수 있을뿐더러 태양 같은 항성의
빛
을 적절히 받아 생물들이 잘 자랄 만한 환경이어야겠습니다. 그러고 보면 태양은 곳곳의 고대인들이 숭배했던 만큼이나 참 고마운 존재입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과 이 ... ...
휴식을 주는 아웃도어 사진들
팝뉴스
l
2017.12.29
놓았다고 해도 반박이 어려울 정도로 반사 각도와 색깔이 완벽하다. 두 번째 사진은
빛
공해가 거의 없는 산속 오두막의 지붕에 올라가 누워 있는 사람의 모습을 담았다. 사진을 보는 동안 잠깐이라고 휴식을 취하는 기분이다. 세 번째는 중국 사진작가의 작품으로 사진 속 인물의 편안한 자세가 ... ...
캐나다의 혹한 여름 파티
팝뉴스
l
2017.12.29
제공 추위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것 같은 위 남녀들은 모두 수영복 차림이다. 뜨거운 태양
빛
을 가릴 선글래스를 착용했다. ‘캐나다 겨울에 벌어지는 여름 파티’라는 제목이 붙은 사진은 해외 SNS에서 인기가 높다. 강력한 추위 내성을 가진 남녀들의 여유로움에 찬사 나올 수밖에 없다. ※ ... ...
양자통신 핵심 부품, 국내서 세계 최초로 소형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연구팀은 이 과정을 수행하는 편광 정보 네 종류를 한 데 모으거나 분리시키는 장비와,
빛
알갱이를 검출하는 장비 등을 모두 통합해 길이 4㎝ 크기의 반도체 칩 안에 넣는데 성공했다. 조석범 SKT 종합기술원 퀀텀테크랩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에 대해 “무선 양자정보통신 장비를 양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유동성이 커진다. 덕분에 막대세포의 세포막에 박혀있는
빛
수용체단백질(로돕신)은
빛
을 받으면 쉽게 구조가 바뀌면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우리 몸은 DHA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물로 섭취하는 게 중요한데 등푸른생선 같은 해산물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함량이 낮다. 물론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