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복수가 차거나 불임 또는 난소암 위험마저 있다는 게
전문가
들의 지적이다. 연구원 난자 문제되는 이유"피를 나눈 형제보다 더 존경하고 모든 것을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다.”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는 황 교수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황 교수를 평소 ... ...
[첨단기술]슈퍼컴퓨터 넘버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367테라플롭에 이를 것으로 기대했다.슈퍼컴퓨터 순위는 매년 두 차례에 걸쳐 정해진다.
전문가
들이 수학적으로 테스트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속도를 잰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2위는 IBM의 왓슨 블루진이 차지했으며, 속도는 91 테라플롭이다. 블루진L은 이번까지 3차례나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현재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쉽게 쌓아올리기 어려운 진입장벽’이라고 치켜세운다. 그러나 그 조건이 훌륭한 금융
전문가
를 만드는 모든 것은 아니라는 점도 함께 강조한다.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잣대로 인간의 투자행동을 해석하고 예측하자면 그 과정에서 필연적인 오류가 발생한다. 이것이 ‘투자를 위한 과학’이 갖는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월동대장, 스무 번이 넘는 남극 방문을 경험한 그의 이름 뒤엔 언제나 ‘세계적인 극지
전문가
’라는 비공식 직함이 따라 다닌다. ‘재규야, 재규야’힘들기로 악명 높은 남극 연구 중에도 특유의 여유를 잃지 않는 그지만 결코 잊을 수 없는 사람 하나가 있다. 지난 2003년 조난된 동료를 구조하러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표준 MRI 위에 옮겨 놓은 것을 누구나 내려받아 사용하고 있다. 고도로 특화된 연구실에서
전문가
가 1년 걸려야 브로드만 영역을 하나 갈라낼 수 있다. 다행히 지금까지 10개 남짓한 영역이 조사됐고, 이 모두를 우리나라 사람의 뇌 표준판에 옮겨놓아 우리나라에서도 내려받기가 가능하다.애초에 어린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가능하다. 이 신발을 신고 잰 바닥의 압력 분포도 맨발과 비슷하게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전문가
들은 “자신의 발을 귀하게 여기라”며 “자신에게 맞는 편안한 신발을 신으라”고 입을 모은다. 모양만 좋은 패션 신발은 나이 들어 발에 변형을 가져오고 관절에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등 총 86명이 409명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절반 이상이 박사학위를 갖고 있는
전문가
들이다.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출신 이학박사로 물리를 가르치는 유리 바쉬카토프 교수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깊은 지식을 요구하는 어려운 질문을 자주 한다”며 “러시아에는 이렇게 열심히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그렇다고 금융공학이 주식투자에서 금방 큰 돈을 벌어주는 건 아니다. 금융수학
전문가
인 아주대 경영학부 구형건 교수는 “주가는 술 취한 사람의 걸음걸이처럼 예측하기 어렵고, 주식거래에는 반드시 리스크가 따른다”며 (투자자 입장에서) “금융공학은 주가 자체를 예측해주는 게 아니라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보며 군중심리에 빠져서 사태의 본질을 볼 수가 없었던 모양이다.써먹을데 많은 미적분
전문가
들이 사용하는 고도의 투자기법은 이밖에도 많다. 최근 많은 금융기관들이 VAR(Value at Risk) 기법을 이용해 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VAR는 정상적인 시장 여건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름으로 바꿔서라도 물리학과를 유지하려는 대학도 있다.상황이 이렇게 된 이유로
전문가
들이 한결같이 지적하는 요인은 “학생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물리학과에 진학하는 학생 수가 줄었고, 학부를 졸업한 뒤 대학원에 진학하는 대학생 수도 줄었다. 이 정도면 한국에서 물리학은 위기를 맞고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