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로듀스X101] 수학 정리로 알아보는 투표 조작 의혹 쟁점3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이 연구원이 알아낸 수학 정리는 네티즌이 제기한 의혹을 모두 설명할 뿐 아니라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겼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 이번 사건이 최종 순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쟁점1. 제작진의 해명은 의혹과 모순된다?제작 ... ...
- [수학동아 10주년 특별인터뷰] 창간호부터 함께 한 수동키즈수학동아 l2019년 10호
- Q어릴 때 읽던 퀴즈 코너(킹앤포)의 주인공이 되신 소감이 궁금해요.2014년 1월 킹앤카가 처음 시작됐을 때 저는 고등학생이었는데, 당시 코너에 출연하는 대학생들을 보고 부러웠던 기억이 나요. 좋은 학교에서 원하는 공부를 하면서 독자를 위해 퀴즈를 만들고 연기도 하는 모습이 너무나 즐거워 ...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있으니 최대한 똑같이 자르려고 애쓸 거고, 자기가 자르지 못한 사람은 어쨌든 스스로 생각하기에 더 큰 조각을 가져갈 수 있으니 불만이 없겠죠. 문제는 사람의 수가 늘어날 때입니다. 3명만 돼도 슬슬 복잡해지기 시작하거든요.슈타인하우스가 제시한 3명이 공평하게 나누는 방법은 오른쪽 그림과 ...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마지막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을 직접 만났습니다. 세계 각지에서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 노력한 연구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지난 4월 어과동 홈페이지를 통해 남긴 어과동 독자 기자들의 질문에도 대답해 주셨답니다! ┼인터뷰 “남극에서 블랙홀을 관측했어요!”_김준한(미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흐읍!시원하게 허공을 가르는 돌려차기. 발끝은 한 점을 향한다. 바로 지름 3cm 남짓한 작은 병뚜껑. 발에 맞은 병뚜껑은 병 입구에서 몇 차례 빙글빙글 돌고는 이윽고 허공을 향해 날아간다.병 속에 있던 물은 사방으로 튀고, 도전 성공을 축하하는 환호성이 터진다. 병이 쓰러지지 않았음은 물론이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해외 연구자들이 자국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발표하는 걸 볼 때 부러웠죠.”10년 전, 해외 천문학자들이 수천만 광년 떨어진 천체를 자국의 전파관측망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때 우리나라 천문학자들은 그 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보기만 했다. 그러던 2009년, 한국에도 처음으로 초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우리는 지금까지 로보트 재권V의 팔, 다리, 몸통, 머리를 만들어 전원을 공급하고 인공지능(AI)을 넣었습니다. 지난 호에서는 냄새를 맡고 소리를 들으면서 주변 상황도 파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어떤 일도 잘 해낼 수 있습니다.그러나 로봇이 인간의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서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탈리아라고 하면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있고, 한국과 유사하게 사계절이 있으며, 음식이 맛있는 나라라고만 알고 있었다. 영화에서 이탈리아 사람들이 나오면 한국 사람들과 기질이 꽤 비슷한 것 같다고 느끼면서도, 영화 밖에서 이탈리아는 여전히 낯선 유럽 나라 중 하나였다. 그런데 ... ...
- Q. 오염수를 왜 바다에 버리려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A. 제일 싸고, 쉽고, 빠른 방법이어서 9월 10일 일본의 환경부 장관격인 하라다 요시아키 환경상은 기자회견을 열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대해 “바다로 방출해 희석시키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공식적으로는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된 바 없다” ... ...
- [따끈따끈한 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1, 2, 4, 7, 11처럼 수를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수열의 일부를 똑 떼서 살펴보면 수가 점점 커지는 ‘증가수열’ 또는 점점 작아지는 ‘감소수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최근 수열을 부분수열로 쪼개서 볼 때 나타나는 수학적 성질을 밝힌, 재밌는 이름의 수학 정리가 나왔습니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