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바다거미는 소화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구팀은 바다를 탐험하다가 우연히 바다거미의 심장이 매우 약하게 뛰는 걸 발견했어요.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12종의 바다거미를 실험실로 데려왔지요. 현미경으로 바다거미를 관찰한 결과, 다리 끝까지 뻗어 있는 소화관이 심장 대신 혈액을 옮긴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소화관은 음식물을 ... ...
- [과학뉴스] 바닷물에 강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그 결과, 시료에서 알루미늄이 포함된 ●토버모라이트와 ●필립 사이트 결정을 발견했지요.●토버모라이트 : 석회와 물이 만나 만들어지는 결정.●필립사이트 : 이산화규소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정.고대 로마인들은 석회와 화산재를 섞어서 콘크리트를 만들었는데, 화산재 성분이 바닷물과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것으로 확인됐어요. 미세먼지가 ‘보통’인 날이었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화학 성분들이 발견됐지요.신관우 교수는 “앞으로 대기 환경 조건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성분을 꾸준히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높이별 미세먼지 성분을 밝히면 발생 원인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앞으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의 날개 문양을 닮은 까치수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까치 날개에 있는 흰 무늬에서 따왔단 얘기가 있지요.여름철 숲에서는 까치수염을 쉽게 발견할 수 있어요. 까치수염은 땅 속에 묻힌 줄기를 주변으로 뻗으며 번식을 하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든요. 게다가 작은 꽃들이 아래에서 부터 위로 차례차례 피기 때문에 여름 내내 꽃을 볼 수 ...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끝내 밝히지 못했답니다.‘피의 폭포’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공포스러운 색깔 때문에 첫 발견 이후 꾸준히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어요. 하지만 그 비밀을 밝히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지요. 1960년대 중반, 미국 위스콘신대 로버트 블랙 교수팀이 피의 폭포 속 철 이온이 산소와 만나면서 빨갛게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푸푸와 갈라파고스 섬으로 여행을 갔다가 처음 보는 새를 발견했어. 다른 새와 달리 이 새는 몸집보다 훨씬 작은 날개를 갖고 있어. 또, 특이하게도 태양을 향해 날개를 양옆으로 펼치고 있더라고. 이 작은 날개로 하늘을 날 수는 없을 것 같은데…. 도대체 이 새는 왜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수 있답니다.# 공룡이 지니고 있는 여러 형태나 구조들은 참 신비로워요. 새로운 화석이 발견되거나, 첨단 연구 장비로 분석된 결과가 나올 때마다 또다른 해석이 나오고 있거든요. 다음에는 또 어떤 연구 결과가 나와 골판의 기능을 색다르게 해석할까요? 친구들도 기대해 주세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생물이 기록됐거든요. 269종이 발견된 곤충 가운데에는 국내 ●미기록종인 파리 ‘케로플라티데’가 포함돼 있답니다.●미기록종 :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 지역에 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생물.또 식물 319종 중에는 습지에서만 사는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뒤 빠른 시간 내에 제보를 받는 일도 중요하다. 과거에는 몽타주를 붙여놓고 용의자를 발견한 누군가가 제보하기만 기다렸다. 하지만 3D 몽타주 시스템은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사진과 몽타주를 비교해 유사한 인물을 색출하도록 했다. 더 무섭게 더 어리게, 7개 인상 자동 변환“원래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들판을 여기저기 뛰는 메뚜기처럼 유전체 안에서 제멋대로 위치를 바꾸는 신기한 유전자가 있어요. 이를 ‘트랜스포존’이라고 하는데, 유전자가 ‘점 ... 것을 알았지요.매클린톡은 이 공로로 1983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어요. 그의 발견 덕분에 유전학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답니다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