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오후 잠 쫓는 ‘카페인’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커피의 유전체(게놈) 초안이 처음으로 해독되며 그 비밀이 풀렸다.프랑스가 주축이 된
국제
연구팀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되는 커피 종인 카네포라 종 커피의 게놈을 해독해 그 결과를 ‘사이언스’ 9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커피에만 존재하는 23개의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그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자라면서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이 필요했다.마침내 1964년 허문회 서울대 교수가 필리핀
국제
미작연구소에서 새로운 벼 품종 개발에 나섰다. 허 교수는 자포니카와 인디카의 혼합종에 관심을 가졌다. 안남미라고 불리는 인디카 종은 자포니카 종보다 생산성은 높지만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잘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아니다. 12살 무렵에는 스스로 수학을 못한다고 생각해 수학을 싫어하기도 했다. 그러나
국제
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면서 자신감을 회복해 다시 수학을 좋아하기 시작했다.미르자카니 교수는 “수학을 잘하는 비결은 재능보다는 자신감”이라며,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이 많은데 교사와 부모가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 우리나라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를 기대해 봐요!-전도윤 독자기자1981년 우리나라가
국제
수학연맹에 가입했을 때는 가장 낮은 등급의 1군이었다. 하지만 1993년 2군으로 한 단계 성장했고, 2007년에는 4군이 되었다. 그리고 2014년에는 세계수학자대회가 한국에서 열리는 영광을 거머쥐었다. 이런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드러냈다.사막 아래의 구슬땀도 연구 과정의 일부다.화장실? 그게 뭐야?한국일본몽골
국제
공룡탐사 프로젝트에는 한국에서는 이융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과 이항재 지질박물관 연구원, 그리고 자비를 들여 참가한 일반인 7명(고비 공룡 서포터스) 등 모두 12명이 참여했다. 일본은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메리카’ 우주공항에 도착했다. 우주공항의 첫인상은 정말 시시했다. 인천
국제
공항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나로우주센터처럼 웅장한 발사타워도 없었고, 황량한 사막에 활주로만 덜렁 있었다. 이곳에서 정말 3일 뒤에 내가 스페이스십2를 타고 우주로 떠날 수 있을까.훈련15초 무중력 훈련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첫 필즈상 수상자다. 브라질 출신인 그는 1995년 15세의 어린 나이에
국제
수학올림피아드(IMO)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브라질의 연구기관인 ‘순수응용수학원(IMPA)’에 들어가 21세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번 필즈상 수상을 계기로 브라질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월, 레이싱 대회의 새 역사가 시작된다.
국제
자동차연맹(FIA)이 역대 최초로 100% 전기자동차 경주인 ‘FIA 포뮬러 E 챔피언십(이하 포뮬러 E)’을 개최한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2015년 6월까지 말레이시아의 푸트라자야, 우루과이의 푼타델에스테, 아르헨티나의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외계행성은 어떻게 태어나는 걸까.먼저 ‘행성’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해두자. 2003년
국제
천문연맹(IAU) 산하 외계행성 연구팀은 외계행성이 진짜 ‘행성’이 되려면 별이나 중성자성과 같은 별의 잔재 주위를 회전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즉 질량이나 여러 특성이 아무리 행성과 비슷해도 홀로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따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해서 5년제로 정했다고 합니다. 이후 미국의 교과과정이
국제
기준이 되면서 지금처럼 굳어지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건축학과도 대부분 5년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는 한 학기 동안 직접 건축물을 만들어 보는 ‘건축설계스튜디오’ 과목 때문입니다.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