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인물이다. 설계부터 완공까지 그의 손때가 묻지 않은 곳이 없다. 심 박사는 얼마 전
국립
해양조사원에 요청해 국내 해도에도 이곳을 암초가 아닌 ‘이어도’로 표기하도록 했다.심 박사는 “해양과학기지가 해양, 기상 관측은 물론 환경 감시에도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20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위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90년부터 ELSI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
국립
보건원(NIH)과 에너지성(DOE)은 각각 연구비 총액의 5%와 3%를 할애해 인간게놈프로젝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와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 대응책을 개발하고 있다.우리나라의 ELSI 연구는 과학기술부의 21세기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경우 비교적 정확한 침몰좌표를 알고 있었다.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와 프랑스
국립
해양연구소가 기술협력을 했고 미해군에서 유인잠수정을 지원하는 등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투자한 결과였다.반면 돈스코이호의 경우는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정확한 침몰 위치에 대한 기록이 불확실했다. 따라서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지구접근천체연구실(NEOPAT)이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지난 2월 말에는 대만
국립
중앙대의 루린천문대(해발 2천8백62m)에 망원경을 설치했다. 지난해 4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서덜랜드천문대에 이어 두번째다. 현재 호주에 또 한대의 망원경을 설치하려고 준비중이다. 앞으로는 칠레,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연결고리(링크)를 만들어준다. 이 연구에서 필요한 실제 생화학반응 자료로는 미 아르곤
국립
연구소의 전산생물학 그룹에서 운영하는 WIT(What Is There?, http://wit.mcs.anl.gov/ WIT2)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대장균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유기체 43가지의 신진대사망(몸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간과 침팬지는 99.4%의 확률로 동일한 유전자 염기서열을 갖고 있었다. 굿맨 박사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유사성으로 볼 때 침팬지는 기존의 형태학적 분류보다 인간과 훨씬 가까운 종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제는 침팬지도 사람과 같은 호모속으로 분류해야 ... ...
과학 전도사들의 눈높이 강연 2백 47회 달성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받고 있다. 특히 평소 과학기술분야에 관심이 적은 학생, 학부모, 일반인이 모이는
국립
민속박물관에서 개최된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은 과학기술 앰배서더 사업을 홍보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좋은 예였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 원장이 참여한 지난 4월 6일 강연은 우리나라의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인체 내 여러 조직으로 운반해주는 능력이 증가한다는 의미다.그런데 2002년 10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는 고산지대인들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가 게재됐다. 고산지대의 환경에서 진화해온 여러 민족들이 똑같은 적응 형태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남아메리카의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구조적 차이와 분포를 조사하는 것이었다.현재 침팬지 유전체에 관련된 정보는 미국의
국립
생명공학정보센터(NCBI)와 영국의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EMBL), 그리고 일본의 유전자정보은행(DDBJ) 등 유전체정보은행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현재까지 염기서열이 해독된 침팬지 유전체는 전체의 약 2%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핵심이 다. 저온의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미국 아르곤
국립
연구소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고효율 열교환기 개발을 추진중이다.이미 북유럽과 일본에서는 열공급부문에서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온도차에너지를 이용한 지역열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는 지역열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