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아프리카 초원의 육상선수 가젤 VS 임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전세계적으로는 약 17종의 가젤이 있어요. 그 중에서도 가장 수가 많고 잘 알려진 건 ‘톰슨가젤’이랍니다. 스코틀랜드의 모험가 조셉 톰슨이 이 가젤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었어요. 몸길이는 약 1m, 몸무게는 20~35kg이고 옆구리에 뚜렷한 검은줄이 있는 게 특징이에요. 이 검은 줄은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어려워요. 빛도 없고, 산소도 매우 희박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심해 생물을 괴롭히는 건 빛과 산소보다도 수압이에요. 바다 깊이 내려갈수록 수압이 커지는데, 수심 1만m에서는 지상의 1000배에 달하는 압력을 느끼게 되거든요. 높은 수압은 생물의 세포를 파괴해요. 그래서 심해 생물은 수심 820 ... ...
- Part 1. 지구를 지나친 역대급 소행성, 3122 플로렌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주기로 3122 플로렌스 주위를 공전하고 있었지요. 3122 플로렌스가 위성을 갖고 있는 건 커다란 덩치 덕분이에요. 소행성이 위성을 잡고 있는 힘은 중력인데, 일반적으로 크고 무거운 소행성일수록 중력이 강하기 때문이죠. 작은 크기의 다른 소행성이나 3122 플로렌스에서 떨어져나온 작은 조각이 ... ...
- [과학뉴스] 전세계 수돗물 83% 안에 미세 플라스틱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이동을 추적한 연구들은 있었지만,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을 전세계적으로 조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수돗물에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 있을 때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연구팀에 조사를 의뢰한 미국의 독립 언론단체인 ‘오브 미디어’는 “미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자석을 다른 자석으로 밀어내면 자동차가 앞으로 가는 원리지요. 자석의 성질을 갖는 건 철의 주요한 특성이에요. 지구의 자기장도 지구 내부의 90%를 차지하는 철이 자성을 갖기 때문에 생긴 거랍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의 자외선이 지구 대기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해요. 만약 ... ...
- [과학뉴스] 지진 나면 공중부양하는 건물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개발된 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에요. 연구팀은 앞으로 이 장치 위에 500~1000t 무게의 건물을 실제로 얹어 놓고 실험해 볼 예정이에요. 또 지진 방지 대책으로 도시의 한 부분을 아예 지상에서 띄워놓는 일명 ‘플로트 시티’도 연구하고 있답니다 ... ...
-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북한 핵실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요즘도 북한에서는 계속해서 핵실험을 한단 얘기를 들었어. 혹시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알고 있니?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북한 핵실험의 비밀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있거든요. 한국국방연구원 이상민 연구위원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아직 재진입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어요. # 현재는 미국과 영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5개 국가가 공식 핵보유국이야. 그리고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북한 4곳은 ...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8월 21일에는 NASA와 함께 기구를 띄워 개기일식을 관측하기도 했어요. 개기일식을 보는 건 흔치 않은 일이기에 정말 놀랍고 신기했지요! 우리가 찍은 사진과 자료는 NASA의 개기일식 연구에 사용될 예정이랍니다. Q. 친구들에게도 한 마디 부탁해요!꿈을 이루는 데 나이는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사실 기구는 오래 전부터 과학 연구에도 유용하게 쓰여왔어요. 기구를 가장 많이 쓰는 건 날씨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에요. 일주일 후나 한 달 뒤의 날씨를 예측하려면 높은 곳의 대기를 관측해 지구 전체의 대기 흐름을 파악해야 하거든요. 이를 위해 전세계 기상 관측소에서는 날마다 같은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