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인"(으)로 총 3,195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과학동아 l1992년 09호
- 통신시장 개방 이후, 외국의 위성체를 통해 외국에서 제작된 지상수신기기로 국내의 각 개인이 통신하는 것을 막을 재간이 없다. 물론 외국의 위성통신회사는 허가된 비밀코드가 부여된 지상수신기를 공급할 것이고, 국내에서 할일은 통화수신료를 걷어서 외국에 주는 일 이외는 달리 할일이 없을 ...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생물교과서의 경우 분류분야가 지금보다 더 많은 지면을 차지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분류가 생물교과서의 절반을 점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실제로 분류 안에서 생리도 생식도 유전도 가르칠 수 있어요.셋째는 중고등학교 생물교사들이 연구회를 조직해 이를 활성화하는 ...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대한 관심은 엄청 높아서 국내의 경시대회에 입상을 하거나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개인의 가장 큰 명예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이렇게 사회적 기반이 조성된 후에 따르는 것은 당연히 이런 대회에 대한 지원이다. 중국의 경우 국제 대회에 출전만 해도 속된 말로 평생동안 '팔자'를 고친다. 각 ...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따라 처리해야 할 문서의 양도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서 처리는 개인의 경우 손으로 사무실의 경우 타자기에 의존해왔다.사무실에서의 일반적인 문서처리 과정인 '문서의 기안, 문서의 초안, 교열 및 교정, 타이핑, 복사, 배포, 보관' 등을 타자기에만 의존하는 경우 이 가운데 ...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과학동아 l1992년 09호
- 심어주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어린 학생들에게 터무니없는 꿈을 가지게 하여 개인적으로는 큰 타격을 가지게 되는 예를 종종 보아왔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보통 과학자에 관한 책이 더 많이 나와야 한다고 믿는다.선진국에서는 천재적인 과학자에 대한 미련을 가지지 않도록 사회 여건이 ...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있음을 알게 되었다.하나는 얼마나 최면에 잘 걸리느냐는 타고난다는 설이다. 이는 개인마다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이 정해져 있으며 아무리 노력을 해도 타고난 정도 이상으로는 발휘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하나는 환경적 심리적 영향이다. 아무리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을 타고난 체질이라 ...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잔다. 10세가 되면 9~10시간, 청년기에는 7~7.5시간, 장년기에는 평균 6.5시간 잔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 수면시간과 수면의 깊이는 다소 차이가 있다.최근에는 뇌파를 포함한 뇌의 생리현상을 생생하게 기록함으로써 수면생리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수면은 몇가지 단계로 구별되고 각 단계는 ...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과학동아 l1992년 08호
- 경우도 이같은 낙하산인사의 '전통적 관행'을 따른 것에 불과하다.이밖에도 개인적 성향으로 치부하기에는 지나치다 싶게 골프부킹, 술접대, 해외출장 시 용돈등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어 연구원들을 슬프게 하고 있다.또 예산철이 되면 과기처 경제기획원 국회까지 거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과학동아 l1992년 08호
- 탑재한 386기종의 성능이 훨씬 뛰어나고 요즈음 서서히 기지개를 켜고 있는 486컴퓨터는 개인용 컴퓨터의 압권이라고 할 수 있다.1MB 2MB 40MB 1백MB… 기억은 많이 할수록 좋아누구든 '300+200'과 같은 간단한 계산은 암산으로 할 수 있지만 '35678+45632'와 같은 계산은 암산으로 해내기 어렵다. 그 이유는 ... ...
- 불황타개책 「홈컴퓨터」 쏟아져 나와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컴퓨터를 혼자서 익힐 능력이 있는 사무직 노동자나 학생층이 개인용 컴퓨터의 주된 사용자였다.올들어 시장환경은 변하고 있다. 89년부터 시작된 국내 PC붐은 대부분 이러한 사용자층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살만한 사람은 컴퓨터를 이미 사버렸고 새로운 수요증가는 둔화되고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