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어 독감에 걸린 것이다. 당시 세간에서는 ‘물백신’ 논란이 나왔다.만약 이렇게 WHO의 예측이 빗나가면, 4가 백신도 제 위력을 발휘할 수 없다. 모든 독감 바이러스에 공통으로 있는 항원을 공격하는 ‘만능 백신’ 연구도 활발하지만, 아직 상용화된 ...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폭이 넓어졌다”고 말했다.빡빡한 학원 스케줄에 쫓기는 평일 저녁, 3시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참석자들은 끝까지 자리를 지키며 발표자들의 말에 집중했다. 딸과 함께 참석한 학부모 최승구 씨는 “딸아이가 공대를 가고 싶어 하는데, 와서 들어보니 생각한 것보다 전망이 좋아 놀랐다”고 말했다.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진화인류학과 브라이언 맥퀸 박사는 2011년 북아프리카 리비아에서 일어난 정부-반정부 간 내전인 리비아 혁명 직후부터 4개월 동안 리비아 북부의 미수라타 지역에서 인도적 구호가로 활동했다. 혁명이 끝난뒤 그는 같은 과의 하비 화이트하우스 교수와 함께 혁명에 참여했던 179명을 대상으로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3안보다도 산업계의 부담이 줄었다. 나머지는 고스란히 수송·가정부문의 부담으로 넘어간다. 이는 전기요금 상승과 원자력발전소 증설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숫자 싸움을 멈추고, 실행에 옮길 때앞으로 기후변화 대처에 중요한 두 가지는 녹색기술의 발전과 그것을 뒷받침할 자금이다. 지난 5월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물품을 살펴보니 여분의 LED 램프가 있었다. 그걸 잠수정 앞에 부착하고 동료들이 남기고 간 우주복에 달린 카메라를 떼어내 수중촬영용 카메라로 썼다.지구에 있을 때, NASA와 ESA는 2020년을 목표로 유로파 탐사를 위해 소형 자동차 크기의 ‘봇(Bot)’이라는 무인잠수정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언젠가는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당신의 몸은, 소화생리학적으로 지금의 엄청난 포식량을 감당할 수 없다. 메가이터 인간은, 결코 메가이터가 되지 말았어야 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Part 3. 몸은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약 16만 종의 화합물이 자연에서 발견됐다. 자연에서 인간과 함께 진화한 천연 화합물은 합성 화합물에 비해 독성이 적다. 자연계 곳곳에 존재하다 보니 원재료를 얻기도 쉽다. 또한 일반적인 합성 과정으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골격의 물질을 발견할 가능성도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차원이 다른 효과가 있다. 실제로 대회 이후에도 꾸준히 연락하면서 5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뒤에도 친구로 지내는 학생들도 있다. IJSO에서의 경험이 자신의 세계관 형성에 큰 도움이 됐다는 e메일을 보내오는 학생도 있다.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도전하기를 바란다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수준을 평가하게 된걸까. 장 교수는 “인공지능의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말했다.결국 우리의 입시가 사라지기 전까지, 이들의 도전은 계속될지 모른다. 앞으로도 쭉 ... ...
- [수학뉴스] 1729의 숨겨진 의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수는 라마누잔이 병원에 입원했을 때 동료 수학자였던 고드프리 하디가 병문안을 간 날의 대화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하디는 타고 온 택시 번호가 1729라는 재미없는 수라고 투덜거렸습니다. 이에 라마누잔은 “1729는 두 수의 각 세제곱을 더해 나올 수 있는 방법이 2가지인 수 가운데 가장 작다”며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