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뉴스
"
조직
"(으)로 총 3,83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가속해 충돌시킨 뒤 나타나는 입자물리 현상을 관측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 ILC
조직
위원회 제공 ■ 日 손에 달린 국제선형충돌기(ILC) 건설 계획 2019년은 차세대 강입자충돌기인 ‘국제선형충돌기(ILC)’ 건설 계획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는 해이기도 하다. 국제 연구진이 2012년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개체 수는 여전히 줄어들고 있다. 불법 밀렵·밀매
조직
은 금융범죄 집단과 비슷하게 점
조직
화돼있고 끊임없이 움직여 수사망을 피한다. 그러나 수사기관이 돈세탁 같은 범죄에 맞서는 것처럼 이들과 맞서진 않는다. 코뿔소의 뿔과 상아를 약재로 쓰는 중국도 야생동물 보존에 관한 국제협약을 ... ...
美 NIH 과학자들 "'인간화 쥐' 태아
조직
사용 불가피, 대안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2년간 약 225억 원의 자금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현재로선 합법적인 낙태로 얻은 태아
조직
만을 연구에 활용하도록 유통 체계를 더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RNA 전사체를 따라가면 무슨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었던 배아세포가 간이나 심장등 특정
조직
의 세포로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대니얼 왜그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시스템생물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진은 발달 연구에 널리 쓰이는 제프라 피쉬 배아의 운명을 결정짓는데 관여하는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1위로 꼽힌 배아 세포 발생 추적 기술은 하나의 배아 세포가 복잡한 발생 과정을 거치며
조직
과 기관을 형성하는 모습을 마치 동영상처럼 시시각각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다. 대니얼 왜그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원팀은 인간과 유전자가 70% 같은 모델 동물인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1개의 배아 ... ...
뇌출혈 없는 안전한 뇌
조직
검사용 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혈관은 찾기 힘들다. 연구진은 광간섭단층촬영술(OCT)이란 기술을 이용했다. 이 기술은
조직
에 근적외선을 쏘아 반사된 빛 세기를 여러 각도에서 측정해 구조를 파악하는 원리다. 적외선은 파장이 길어 빛이 깊이 침투하지 못해 최대 1.5㎜ 깊이까지만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러나 뇌 속 수㎝ 깊이로 ... ...
바닷물 산성화로 연어 고향으로 못돌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미쳤는지 조사했다. 연어를 연어 피부
조직
을 담아 놓은 수조에 넣었다. 연어 피부
조직
의 냄새는 근처에 포식자가 있다는 것을 연어에게 알려줘 도망치도록 한다. 관찰 결과 산성이 높으면 연어는 냄새에 둔감해졌고 도망을 가지도 않았다. 연구진은 연어의 코와 뇌 중 어느 부위에 산성도가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을 뚫어 뇌기능을 잃게 되는 증상을 뜻한다. 프리온은 일반적
조직
주사로 전염이 된다. 콜린지 교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수술도구에 단단하게 달라붙는 경향이 있어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에게 사용했던 수술도구를 다른 이에게 사용하면 안된다”며 "뇌수술 ... ...
접착력 강하고 고통없이 떨어지는 반창고용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공유 결합이나 전기적 인력 같은 물리적 상호작용이 접착 면에서 이뤄져야 하지만 인체
조직
이나 하이드로겔에선 이들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과학자들은 화학적인 방식으로 부착력을 높이는 기술을 내놨지만 이번에는 사용후가 문제로 나타났다. 피부에 붙인 반창고나 웨어러블 기기들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정신질환 환자 뇌세포에 나타난 유전적 변화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등을 앓는 2000여 명의 피험자 뇌 영상과 유전정보, 질병기록,
조직
표본 등을 바탕으로 뇌
조직
은 물론이고 단일 세포 단위에서 나타나는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이런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뇌에서 어떤 메커니즘으로 정신질환이 발생하고 발병 이후 어떻게 변화하는지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