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방식이다.이번에 출시한 구글 번역기는 ‘신경망 기계번역(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을
활용
한다. 인공신경망은 사람의 뇌 구조를 모사한 학습방법으로, 중요한 기억에 대해서는 연결을 강화하는 뉴런과 시냅스의 작용을 모사한다. PBMT의 경우 문장이 길어지면 서로 멀리 떨어진 단어들을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인기가 치솟고 있어 가격도 많이 올랐다. 탄자니아가 이런 천혜의 자연 자원을 잘
활용
해 가난의 굴레를 벗고 아프리카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기를 기대한다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아트 전시회의 한 장면이다.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아트센터 나비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한 미디어 아트 전시회를 열었다. 한국에서는 처음이고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많지 않다. 앞서 언급한 작품은 홍콩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뉴미디어아트의 선구자 모리스 베나윤이 토비아스 클랭, 장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잘 알고 있었기에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최홍수 교수가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
할 수 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유 교수에게 먼저 손을 내밀었다. 두 사람의 로봇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처음 연구를 시작한 2010년은 물론 현재까지도 마이크로 로봇은 개발하기 쉽지 ... ...
[과학뉴스]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책임연구원은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을 이용해 방사성 폐기물을 정화하고 처리하는 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엠바이오’ 온라인판 2016년 11월 29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RNA바이러스 유전자를 찾을 수 있는 초정밀 프라이머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했다. 이것을
활용
하면 어떤 RNA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찾는 PCR의 초기 진행을 수 초로 단축할 수 있다.구 교수는 “앞으로 조류인플루엔자와 돼지콜레라 등 동식물 바이러스에 맞는 프라이머 데이터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증진시키는 콘텐츠도 개발하고 있다.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활용
하기 위해서다. 또 언젠가는 홀로그램 기술을 실현시켜 아무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실감나게 가상세계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쓰고 있는 안정적인 기술로 3진법 집적회로를 구현한 것”이라며 “이 소자를
활용
할 수 있는 회로 시스템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재료로 문턱 전압 두 개로 박진홍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팀은 2차원 반도체 물질인 흑린과 이황화레늄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가깝다. 유전자 변이가 가장 오랫동안 일어났다는 뜻이기 때문이다.연구자들이 연구에
활용
한 변이는 단일염기다형성(SNP)이었다. 단일염기다형성은 같은 종에서 단일한 DNA 기본 염기 서열 중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 또는 변이를 말한다. 인간의 경우 33억 개의 염기쌍에서 약 0.01%가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는 약의 재료로 시간이 지날수록 빨간색에서 진한 갈색으로 변하는 물질이다. 이를
활용
해 찍은 사진은 니엡스가 찍은 사진보다 섬세한 명암 표현이 가능했다.그림 그리는 천문학자최초로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다. 약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