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d라이브러리
"
현상
"(으)로 총 7,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지구 밖에서 들어오는 태양풍 입자와 지구 대기의 공기 분자가 충돌해서 빛을 내는
현상
이다. 오로라가 발생했을 때, 태양 양성자가 함께 들어왔다면 우주방사선도 증가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오로라를 만드는 입자들은 에너지 범위가 수십~수백 KeV에 해당하는 전자들이고,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두려움을 느끼는 편도체의 변화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에서도 이런
현상
이 보이는데, 엄마들은 자녀를 지키기 위해 평소라면 피할 상황에서도 용감하게 나서곤 한다.비슷한 맥락에서 엄마가 되면 처녀 때와는 달리 주위를 덜 의식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가 지하철 같은 공공장소에서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자 수크로스가 흑연처럼 바뀌면서 각 입자가 그물처럼 연결되는
현상
을 발견했다. 이 물질에 전류를 흘렸더니 표면에 있던 전자가 내부까지 빠르게 전해졌다. 밀도도 기존 소재보다 1.4배나 높아져 용량도 늘어났다. 연구팀은 2년 안에 이번에 개발한 입자 분말을 배터리용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정보를 알아내면 양자역학의 특성상 중첩상태가 깨지고 간섭
현상
도 줄어든다. 이중슬릿을 통과한 빛은 간섭무늬 형태로 넓게 퍼지는 대신 망원경이 있는 곳으로 집중되기때문에 그곳의 폭탄만 제거한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차에 올라 탄 은욱은 망원경을 설치하라고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털은 치명적일 수도 있는 자외선과 주변의 나뭇가지, 기상
현상
등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또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이로써 주위 온도에 구애 받을 필요가 없이 훨씬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그런데 인류의 피부는 아주 이상합니다. 털로 ... ...
[9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는 내용이지만 천연조류제어제를 소개하기 전에 기사 도입부로는 괜찮다. 문제는 녹조
현상
이 4대강 사업과 어떤 구체적인 인과관계가 있는지 과학적 근거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명확하지는 않다는 점이다. 폭염을 언급하고 있긴 하지만 이 주제만으로도 많은 분량의 또다른 기사가 구성될 수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위를 달릴 때 앞에서 달리는 차의 속도가 줄어들면 점차 그 도로 위 일정 구간 ‘정체
현상
’이 생기는 것과 같다. 이런 원리로 파도는 마루와 골 사이의 진행 속도의 차가 커지면서 파도를 이루는 파동의 균형이 깨진다. 이때 파도의 머리 부분이 거품으로 부서진다. 미국의 프린스턴대 로버트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길들이는 데 실패했다고 설명한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말은 성공하고 얼룩말은 실패한
현상
을 ‘안나 카레니나 법칙’이라고 불렀다.[제주도 초지에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는 제주마. 토착 품종으로 키는 작지만 튼튼하고 지구력이 뛰어나다.]“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보홀트 교수팀의 논문이다. 논문은 비소 박테리아가 인 대신 비소를 써서 증식하는
현상
을 관찰하지 못했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같은 정밀한 장비로 DNA를 분석한 결과 분자 골격에 비소가 참여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레드필드 교수팀은 먼저 과거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 ...
9개월 아기도 언어 구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언어에 대한 반응이 비언어에 대한 반응보다 더 오래 나타난다는 의미다. 이같은
현상
은 앵무새의 소리를 듣는 반응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만 어떤 특정 상황에서만 동물의 언어 소리와 비언어 소리를 구별할 수 있었다. 아테나 불루마노스 교수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