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으)로 총 3,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우리 한국인의 얼굴 특징을 이루는 유전자형은 밖에서 흘러 들어온 것일까 아니며 한국인이 한반도 안에서 변형 또는 치환되는 과정에서 저절로 생긴 것일까?안면형의 분포상 지도를 얼른 보아 생각하기로는 작은 눈동자에 흐린 눈썹은 서쪽 황해의 건너편으로부터, 세로로 높고 가로로 좁은 ... ...
- 기초과학 연구의 상징 SSC 건설계획 중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관련 세계 주요 연구소 소장 30인이 모인 이 모임에서는 기초과학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세계적으로 1천명 이상이 참가하는 국제협력연구의 일방적 중단이 야기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성이 지적됐다. 아무튼 'SSC의 중단이냐, 아니면 지속이냐'는 문제는 미국뿐 아니라 일본이나 유럽의 ...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베란다에 설치해 놓고 이중성과 행성 등 태양계의 천체들을 관측하는데 주로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 망원경의 선택은 달라진다.전자의 경우 관측 대상들의 표면 밝기가 낮으므로 f수가 작은 망원경을, 후자의 경우 f수가 큰 망원경을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은하와 같이 먼 하늘 물체들의 경우 ...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볼 때 B는 상대방의 시선을 느끼고 A의 방향을 향하며, 또 제3자 C도 이 시선의 오고 감을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것은 가상 현실의 응용에 있어 사실감의 추구를 목표로 한 것이다 ...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방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다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식물들에게는 분명히 생리적인 한계가 있을 것이고, 언젠가 갑자기 육상 생태계는 더 이상 이산화탄소를 숨겨줄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이런 암울한 해답은 사라진 이산화탄소를 찾아나선 모든 과학자들이 결코 바라지 않는 것이다 ...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제안된 국제 우주기지 계획과 같은 것이 대중적인 것이긴 하지만 여론의 시선을 끌지는 못하고 있다. 최소한 그들의 첨단기술을 다시 과시할 수 있기 위해서라도 NASA는 새로운 영감을 필요로 한다 ... ...
- 원적외선 방출하는 TV수상기 국내 개발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만드는가 하는 것은 특허 대상이다. 이미 국내 특허를 얻고 세계 13개국에 특허를 출원중인 바이오 TV는 음극선관과 그 케이스의 '일정 위치'를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늄 지르콘 등과 같은 바이오세라믹스 분말성분을 섞어 만들어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했다. 브라운관의 음극선관은 바로 브라운관의 ...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과학동아 l1994년 01호
-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다만 가장 손쉽고 경제적인 방법이라면 호감이 덜가는 한국인의 유난히 아래로 처져 있는 입술끝을 치켜 올리는 길-미소짓기-밖에 없다 ... ...
- PART.3 CPU전쟁, 인텔 독주는 계속될 것인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맹공을 받고 있는 인텔이 얼마나 PC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잃지 않고 지켜나갈 것인지가 바로 향후 PC 시장의 최대 관심사이며, 결과에 다라서는 한차례 PC 시장의 엄청난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self-similarity)이다.한때 자기유사성은 자연 현상을 해석하는 강력한 도구로 등장해 인간의 심장구조, 해안선의 모양, 은하계의 모습 등을 설명하는데 이용됐으나 코흐곡선과 같은 단순한 비교는 서서히 힘을 잃어가고 좀더 한차원 진전된 자기유사성의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앞으로 프랙탈 개념의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