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항등식을 보여준 적이 있어요. 전 그 항등식을 일반화할 수 있냐고 물었고 재기어는 안 될 거라고 했죠. 그런데도 전 그 문제에 꽂혀버렸어요. 그래서 박사 후 연구원과 함께 이 항등식에 매달렸어요. 이제 풀었다 싶으면 틀리고, 드디어 생각해냈다 싶으면 틀리기를 5년, 우린 드디어 답을 찾았죠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나타나기 시작했어요. 처음으로 발견한 건 목재 틀이었어요. 목재 틀을 부수자 그 안에서 커다란 두개골이 나왔지요. 이후 아래턱뼈인 하악골과 어깨뼈인 견갑골을 꺼내고, 척추뼈와 꼬리뼈들도 차례로 꺼냈어요. 참고래 골격이 망가지지 않도록 연구원들이 직접 조심스럽게 작업했고, 묻어 있는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온도는 영하 20°C, 습도는 40%로 유지한다고 해요. 두꺼운 점퍼를 입었는데도 시드볼트 안은 정말 추웠어요. 종자를 보존하는 시설에는 시드볼트와 시드뱅크 두 종류가 있어요. 시드뱅크는 필요할 때 종자를 꺼낼 수 있지만, 시드볼트는 종자가 멸종되기 전에는 꺼내지 않는다는 점에 차이가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합니다. 만약 P=NP라면 지금은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찾지 못한 문제도 빠른 시간 안에 답을 찾을 수 있는 알고리듬이 존재한다는 뜻이 됩니다. 그러면 베루카도 무작정 모든 초콜릿을 확인하지 않고 꼭 필요한 돈과 인력만 들여서 골든 티켓을 찾을 수 있겠죠. 하지만 P≠NP라면 아무리 돈이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평소였다면 몇 분만 뛰어도 발에 불이 난 것처럼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그동안 평발이라는 이유로 달리기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던 장애물이 사라진 셈이다. 달리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이다. 누구나 효과를 볼 수 있는 완벽한 운동이기도 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독자 여러분도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무척 어렵습 니다. 준리만 가설은 자명하지 않은 해의 실수 부분이 0<a<1 같은 구간 안에 있다고 생각하고, 이 구간의 간격을 조금씩 줄이면서 결국 1/2에 있음을 밝히는 게 목적입니다. 이 구간을 아주 조금 줄이는 것도 무척 어려운 일이랍니다. 팩트체크3. ‘리만 가설’을 증명하면 암호 체계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정리하려고 노력합니다. 시험 2~3주 전부 터는 시험 대비를 하는데, 5일 정도는 그동안 배웠던 내용 들을 정리하고, 이후 문제를 풀면서 암기합니다. 비록 내용 정리를 통해 큰 틀은 잡았지만, 세세한 내용은 문제 속의 예시를 보면서 실전에서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같은 문제도 여러 번 푸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어느 날 갑자기 전기가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물론 이런 일이 일어나면 안 되겠지만, 실제로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전기 덕분에 가능했던 모든 편리 ...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에너지는 감전과 화재 등 위험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하게 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래야 종자에서 싹이 나는 것을 막아 종자를 영구 보존할 수 있거든요.”시드볼트 안에는 수만 점의 종자들이 도서관처럼 정리되어 있었어요. 앞으로 수백만 점의 종자가 더 보관될 예정이지요. 이경수 친구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종자를 보존한다는 사실이 신기했다”며 소감을 말했답니다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있지는 않을까요?2012년 아샤드 쿠드롤리 미국 클라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특정 부피 안에 물건을 최대한 많이 채우기에 가장 좋은 모양을 찾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원통에 구를 채우면 최대 74%까지 채울 수 있지만, 다면체일수록 밀도는 점점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니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