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로봇과 인공지능을 인간으로 보려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유럽연합(EU)의회 법사위원회는 1월 12일, EU차원에서 로봇 개발과 사용에 관한 규제, 그리고 로봇의 의무와 권리를 규정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했다. ‘또 다른 인간 종’의 탄생을 앞두고 논란이 점화될 전망이다. 인간에겐 기본소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Exoskeleton날마다 걸어 다니는 우리는 두 발로 서서 걷는 것이 별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두 다리로 땅을 딛고 42.195km를 우아하게 달릴 수 있는 동물은 지구상에서 인간이 유일하다. 두 다리로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된 것도 10여 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무거운 인간의 상체를 짊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계 최대 금융거래정보저장소인 ‘DTCC(Depository Trust & Clearing Coporation)’는 1월 9일, 파생상품의 거래정보를 모두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저장하고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DTCC가 관리하는 금융 상품의 총액은 무려 11조 원에 달한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돈을 운용하는 데 새로운 방식의 기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인공신경망 번역기 중에서도 구글 번역은 특별하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해도 따로 알고리즘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모두 학습시켰다. 이를 ‘다중언어모델’이라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 ... ...
- [과학뉴스] 달걀과 대체 달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상 최악의 조류인플루엔자(AI)로 살처분된 닭과 오리의 수가 3000만 마리를 넘어섰다. 달걀 껍질에 묻은 바이러스가 확산될 우려 때문에 달걀까지 매몰하면서 이른바 ‘계란 파동’이 현실화됐다. ‘앙꼬 없는 찐빵’마냥 식당에서는 계란이 자취를 감췄다.그 중에서도 제과제빵 업체가 직격탄을 ... ...
- [과학뉴스] 개코원숭이도 모음을 말할 줄 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언어의 진화 과정을 밝힐 새로운 단서가 나왔다. 프랑스 엑스마르세이유대 인지심리학과 조엘 파고트 교수팀은 개코원숭이(Papio papio )가 모음에 가까운 발성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개코원숭이가 내는 소리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고, 혀 근육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했다. 그리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가녀린 몸에 큰 눈망울, 굳게 다문 입술, 풍성한 머리칼과 화려한 꽃 장식, 어깨 위의 나비….‘미인도’는 천경자 화백의 작품답게 화려하면서도 수수한 멋이 있다. 하지만 25년간 진위 논란에 시달렸다. 천 화백이이 작품을 두고 “내 자식이 아니다”라고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자세히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2016년 10월, ‘뉴맥캔들’이라는 향초가 탄생했다. 이 초에 불을 붙이면 애플사의 컴퓨터인 맥을 처음 구입했을 때 나는 특유의 냄새가 난다. 향을 맡은 사람은 갖고 싶었던 전자기기를 손에 얻었을 때처럼 들뜨고 설렌다. 뉴맥을 만든 미국의 컴퓨터액세서리기업 트웰브사우스사는 민트향과 복숭아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난해 12월 말 ‘사이언스’는 2016년 최고의 과학 사진 10장을 뽑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미국 플로리다국제대에 설치된 대형 송풍장치 와우는 그 중 하나였다. 송풍기 날개 길이가 사람의 키보다 큰 이 거대한 장치는 이른바 ‘재난 기계(Disaster Machine)’ 중 하나다. 재난 기계는 허리케인이나 지진 ... ...
- [Issue] “ 우리 우주가, 다른 우주의 그림자?”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난 1월 7일, 서울 용산은 우주의 기운, 아니 우주의 신비를 직접 느끼려는 150여 명의 열기로 뜨거웠다. 추운겨울임에도 외투를 벗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그 전에 난방부터 줄였지만.과학동아가 만드는 독자 초청 과학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 31번째 주제는 빅뱅우주론이었다. 이번엔 시작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