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망과 수단을 갖게 되어 교통수단에 의한 우편을 부분적으로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독자
적인 영역을 넓혀나갔다. 지금도 통신선로가 철도나 도로를 따라 설치돼 있지만 통신은 전화와 전신의 등장으로 교통과는 분리된 별도의 수단과 망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교통이 막히면 통신이 뚫린다는 논리가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유리하므로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또 하나의 벽은
독자
적인 서체 기술이다. 현재 국내에서 한글 서체를 개발하고 있는 대부분의 업체가 미국이나 일본에서 도입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으로는 한글의 독특한 구조를 살리지 못한다. 예를 들어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전자통신연구소의 부설연구소로 등록돼 있지만 실질적 운영을 거의
독자
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이번의 흡수통합은 천문학연구자들에게는 '마른하늘에 날벼락'임에 분명하다."이번 흡수통합의 이유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우리 연구소가 효율성이 낮다는 것입니다. 즉 투자에 따른 결과물(out put)이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논쟁에 참여하는 일은 일반
독자
들을 혼란에 빠뜨릴 염려가 있다. 그리고 양측의 이론을
독자
들에게 제시해 스스로 비교 판단하도록 하자는 말은 언뜻 생각하면 공정한 듯 하나, 그에 앞서 창조론을 과학의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이론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느냐가 밝혀져야 한다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하면 상자안에 사과를 가장 많이 넣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생각한다. 아마 많은
독자
들도 한번쯤은 이런 생각을 했을 것이며 따라서 여러분은 모두 어떤 의미에서는 아마추어 수학자인 것이다.이 문제의 답은 그리 어렵지 않게 구해지게 되며 아마도 여러 곳에서 이 방법을 활용할 수 있게 될 ... ...
(1) KS한글코드 바뀌어야 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 글자는 KS규격을 따내지 못한 불량품이다. 글자에도 KS가 있느냐고 놀라는
독자
가 있을 것이다. 볼펜 한자루에도 여러가지 KS규격이 적용되는데, 하물며 더 복잡한 컴퓨터분야에 KS규격이 없을 리가 없다. 이 가운데 하나가 컴퓨터에서 쓰이는 한글 코드에 대한 규격을 정해 놓은 것으로, 여기에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독자
라면 시간을 내서라도 이 두 문제만은 직접 해결해 보기 바란다. 그 두 문제를 다 푼
독자
는 필자의 풀이를 봐도 괜찮다.끈기있게 파고들어야육체적인 올림픽과는 달리 IMO는 단기간의 훈련과 스파르타식 교육으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좋은 성적을 내려면 꾸준히 자기의 재능을 개발하고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조작이 직접 간접으로 필요하나 최근에는 각종 센서를 장착하고 인공지능을 갖추어
독자
적으로 판단하고 작업하는 로봇을 개발하려 하고 있다. 로봇의 이용은 단순히 공사기간을 단축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곳의 작업이나 위험한 작업에 매우 효율적이다.일본의 T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계획일 것이다. 화성 표본물질회수 계획(Mars Sample Return Mission)은 현재 미국과 소련이
독자
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계획에 따르면 우주선이 화성에 연착륙한 후 화성면차로 표면을 주행하면서 샘플을 모은 다음 이를 지구로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 계획의 또 다른 임무는 2000년대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어디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쓰는 것일까. 대부분 워크스테이션이나, IBM PC계열이 아닌
독자
계열 PC(애플사의 매킨토시 등)에 쓰이고 있다.마이크로프로세서는 비트수가 증가함에 따라 칩에 집적된 트랜지스터의 수가 급증하는데 16비트형인 모토롤러 68000의 경우 6만8천개의 트랜지스터가 한 칩에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