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흥미
호기심
주의
재미
감흥
취미
잼
d라이브러리
"
관심
"(으)로 총 7,10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뉴스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이번 달에도 그들의 예술 능력에 대한 과학뉴스가 실렸다(20쪽). 과학동아는 작년 3월 네안데르탈인 특집(‘안녕! 네안데 ... 주도했다는 이야기는 들은 적이 없다. 우리는 생각보다, 우리의 과거나 진화에 대해
관심
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 ...
GIST 정자호 입학사정관 인터뷰 - “중요한 것은 ‘What’이 아니라 ‘How’”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있습니다.최근 학교교육 및 입시의 변화로 교실 밖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에 대한
관심
이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 GIST 역시 과학기술분야에 특화된 기관으로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이런 활동을 통해 미래 이공인을 꿈꾸는 학생들은 GIST의 대학생활을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기 위해 공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각 학파에는 수학적 능력과
관심
에 따라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모여 수학을 즐겼다.위에 제시된 문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손쉽게 풀 수 있다. 각 원의 중점을 이은 뒤, 중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나가면 된다. 이를 일반화해서 ... ...
미분방정식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학교 다닐 때만 해도 대학에서는 순수수학만 가르쳤거든요. 하지만 전 순수수학에는
관심
이 별로 없었어요.한성현 : 그럼 어떻게 해서 수학자가 되신 거예요?민조홍 교수 : 졸업 후 회사도 다니고, 친구들과 벤처회사도 운영했어요. 그런데 실제 산업현장에서 일해 보니 수학이 필요하더라고요.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탁구 비법 4“파이팅!”분희 언니 이야기 잘 들었어. 생각보다 수학자들이 ‘탁구’에
관심
이 많구나~!나도 수학과 과학이 없었으면 탁구의 발전이 더뎠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들었어.특별히 탁구에 입문하는 친구들을 위해 내가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해 줄게! 하나 탁구라켓은 공의 0°~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고대부터 수학자뿐만 아니라 과학자, 철학자, 예술가들도 이런 정다면체에 깊은
관심
을 가졌다. 정다면체는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기하학을 사랑했던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의 제13권에 자세히 기록돼 있다.그러다 15세기 즈음 수학자들은 정다면체가 끝없이 순환하는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신경세포 사이의 연결성에 대한
관심
을 불러일으킨 사람은 미국 위스콘신주립대 존 화이트 교수다. 1986년 화이트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이라는 1mm 크기 선충의 뇌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의 모든 연결성을 찾아 지도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 ...
세상을 밝히는 등불처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새로 부임해 온 노종선 교수님께 박사과정 진학상담을 받았고 이내 부호이론 분야에
관심
을 갖게 됐다.첫 만남에서 교수님의 학자적인 분위기와 부드러운 카리스마가 인상적이었다. 학생들에게 교수님이 정해놓은 틀에 따를 것을 강요하지 않았다. 그보다는 스스로 정한 높은 기준에 따라 먼저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화보집”이라고 말한다. “사람들은 (지구의) 절박한 현안들보다 마돈나의 화보집에 더
관심
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실제로 어떠한지 알아보고 싶었어요.”각 나라 사람들이 공개한 집은 때론 전쟁이나 깊은 가난의 상흔이 남아 있다. 집에서 끄집어낸 물건들을 보고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해도 늦지 않다. 무엇보다 공부하는 과정이 행복해야 한다.
관심
분야가 생겨서 스스로 공부를 하면 과정이 즐겁다. 스스로 주도적으로 공부해 보자. 방향이 없는데 무조건 열심히만 하면 능률이 잘 오르지 않는다. 치열하게 고민해 보자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