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2,999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05
볼 수밖에 없는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세포는 얇은 막으로 싸여있고
내부
에는 핵(nucleus)이라고 불리는 작은 구(球)가 들어있어 각 세포마다 한마리의 어류를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설계도가 담겨있다.1965년 멘델은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성질을 전하는 것을 '인자'라고 표현했고, 그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05
검시는 사망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외표검사만 행하는 '검안(檢眼)'과 직접 사체
내부
의 장기를 조사하는 '부검'(剖檢)으로 나뉜다. 사인판명과 함께 피살자가 언제 죽었는지를 밝혀내는 일은 용의자의 알리바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매우 중요하다. 시체는 초기에 일어나는 변화로 온몸에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04
5백㎞ 이상 떨어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부근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은 대개 판
내부
에서 발생하는 지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지진은 판구조론으로 설명하기 곤란하다.지진은 진원의 깊이에 따라 지표 70㎞이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천발지진(shallow earthquake). 70~3백㎞를 중간심발지진(intermediate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04
표면이 얽혀있다. 이 위성의 표면은 얇은 얼음으로 덮여있는데 이 얼음층이 깨어져서 틈
내부
로부터 어두운 색의 물질이 흘러나와 검은 선을 만든 것이다. 유로파의 표면은 운석공이 없이 매끄러운 것으로 보아 그동안 표면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믿어진다.가니메데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4
암놈은 출수공에 산란하고, 중고기 아과는 입수공에 산란하는 차이가 있다. 패류의
내부
구조상 출수공에 산란된 알은 아가미 가운데 부분인 수관(水管)에 들어가게 되고 입수공에 산란된 알은 외투강에 놓이게 된다. 출수공에 산란하는 납자루 아과 어류들의 알 직경은 약 1.2㎜이고 입수공에 ... ...
두발 로봇 드디어 등장
과학동아
l
199104
로봇을 개발하는 것이다. 가령 도쿄 소방청이 구상중인 소방차로봇이나 원자로의
내부
를 청소하는 로봇, 해저에서 광물을 캐내는 로봇 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04
받고 있는 독일 병정 같다는 생각이 떠올랐다.두 부부는 휴머노이드들에 의해서 UFO
내부
로 끌려들어갔으며, 거기서 그들은 조사실같은 곳으로 안내돼 조사를 받았다. 그들은 온몸을 손으로 더듬었으며, 피부표피의 샘플을 채취하기도 했다. 베티 힐은 지도자라고 생각되는 사람에게 그들이 어디서 ... ...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04
던져 화면을 부숴버린다는 내용이다.매킨토시 개발자들은 사용자들이 매킨토시의
내부
를 알 필요도 없고, 더 추가할 필요도 없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때문에 초기의 매킨토시 제품은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열 수 없었다. 사실 매킨토시 컴퓨터는 확장이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나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04
PC로 기종을 대체하기에 이른다. 모든 사람들은 애플의 몰락을 예견했고 이와함께 애플사
내부
도 동요하기 시작했다. 누군가의 말처럼 '애플 신화의 종말과 함께 개인용 컴퓨터의 암흑기가 도래한 것'이다. 그러나 애플은 여기에서 주저앉지 않았다.좁스와 리사애플Ⅱ가 역사의 장으로 사라지자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03
의한 뇌신경의 미시적인 원리 규명 등이 중요하다. 또 최근 발전이 두드러진 뇌의
내부
를 수술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컴퓨터 단층(CT, Computer Tomography)기술, 더 나아가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자기센서에 의한 뇌자기 계측 등도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두번째 뇌 정보처리 과정의 본질적 원리를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