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70건 검색되었습니다.
RNA 첨가한 메르스 바이러스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녹아 없어지는 건 안전하다는 장점이지만 거꾸로 면역력을 더욱 높이는 데는 단점으로
작용
했다. 여기에 연구팀은 아연 금속을 활용한 RNA 안정제를 첨가해 RNA가 면역력을 높여주는 시간을 1시간 30분으로 늘렸다. 금 단장은 “RNA의 표면은 음이온이 있는데 여기에 양이온인 아연 금속을 둘러싸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결국은 면역이다 (상)
2020.04.14
감염된 기관지와 폐세포에 빠르게 도달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잡아먹는다(포식
작용
). 반면 자연살해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구멍 낸 후 효소를 세포 내로 주입하여 감염된 세포가 자살 또는 괴사되도록 유도한다.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수지상세포, 정규군 T세포 지휘·훈련 ... ...
KIST, 설립 54년만에 첫 신임 원장 선임 ‘불발’...연구회 재공모 추진키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연구회 이사회에서 선임이 이뤄지지 않으며 일각에서는 이른바 ‘윗선’의 입김이
작용
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KIST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통상 신임 원장 3배수가 정해지면 일반적인 인사검증 절차가 있는데 이번 선임 과정에서는 이상할 만큼 인사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 ...
'코로나19 시대' 도시가 바뀐다...'분산화·개인화'로 감염 확산 낮춰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다양한 오프라인 활동이 온라인에서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간 상호
작용
이 줄지 않도록 체험 중심의 공간을 만들어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모이게 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정 교수는 “꽃을 보러 공원에 가는 일은 ICT가 아무리 발전해도 절대 온라인으로 대체하지 못한다"며 “다른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이기도 하다(아래 참조). 차가운 원자가 냉장고처럼
작용
해 분자의 에너지를 빼앗으면 극저온 분자를 만들 수 있다. 문제는 아이디어는 쉬운데 실제로 실험하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분자와 원자는 ‘스핀’이라는 양자역학적 성질을 갖는다. ... ...
"코로나19 정보검색에 하루평균 2시간…격리자는 2.3시간"
연합뉴스
l
2020.04.08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이어 "격리자의 경우 그 자체가 심리적 트라우마로
작용
할 뿐 아니라 격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심각해지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코로나19의 장기화 추세에 맞춰 일반 시민과 의료인, 격리된 사람들 각각의 상황에 맞는 사회적 지지 ... ...
[과학게시판] KAIST, '증강현실 프로그램' 대학원 신입생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책자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소셜 로봇은 인지와 교감 능력을 바탕으로 인간과 상호
작용
해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이다. 책에는 소셜 로봇 기술을 소개하고 로봇의 활용처와 향후 미칠 영향에 대해 설명했다. 기술영향 예측 외에도 다양한 정책제언이 제시됐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美연구진, 렘데시비르 비슷한 원리의 새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적어졌다. 연구팀이 항 코로나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한 약물 중 실제 항바이러스
작용
을 하는 EIDD-1931의 분자구조다. 바이러스학 저널 제공 이 후보약물은 렘데시비르에 내성을 갖는 바이러스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렘데시비르는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개발한 에볼라 ... ...
[IBS 코로나19 리포트] '기생충'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 증식을 막는 치료 전략
2020.04.07
Ritonavir)와 로피나비르(Lopinavir)의 혼합물이다. 에이즈바이러스의 단백질가위에 결합하여
작용
을 억제하는 약물로 단백질구조 기반 약물 개발의 초기 성공사례 중 하나다. 에이즈바이러스의 단백질가위와 최초 개발된 저해제 리토나비르의 결합구조가 밝혀진 뒤, 그 분자구조를 바탕으로 효능을 더 ... ...
[기고]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2020.04.06
인체에 비상상황이 벌어지는 경우 신속하게 이를 감지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는 방어
작용
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은 최근 연구를 통해 이러한 일련의 기능 물질들을 보고한 바 있다. 예컨대 다양한 병원체의 공격에 기존에 알려진 어떤 면역물질보다도 더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