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방안
해결책
솔루션
d라이브러리
"
해결방법
"(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어린 소금쟁이 설명하지 못하는 물결이론소금쟁이가 연못이나 시내의 잔잔한 수면에 떠있는 이유는 표면장력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소금쟁이는 1초에 자신의 몸통 길이의 1백배 정도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키가 1백80cm인 사람이 1초에 1백80m를 수영해 나가는 것과 같다. 소금쟁이 ... ...
2 지상에서 번개 일으켜 피뢰기 모의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우리나라 전력망은 1970년대 중반까지 배전전압은 6.6kV와 3.3kV, 송·변전전압은 66kV와 1백54kV를 사용하는 체계로 구성돼 있었다. 1976년 정부는 전력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송전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전전압은 22.9kV, 송·변전전압은 1백54kV와 3백45kV로 격상시키기로 결정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중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중국집 주방장이 면을 뽑는 과정을 지켜보면 감탄사가 절로 튀어나온다. 이 분야의 달인은 머리카락보다 가는 면발을 만들어 바늘귀에 꿰기도 한다. 머리카락의 두께가 고작 8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정도니 주방장들은 이미 수천년 전에 마이크로시대를 열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본격적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정보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칩 제조 기술은 머리카락의 두께에 해당하는 마이크로(${10}^{-6}$) 수준에서 원자와 분자가 속해있는 나노((${10}^{-9}$) 단위로 전환중이다. 이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2가지 방식으로 나노세계로 접근해가고 있다. 하나는 원래 큰 덩어리였던 것을 나노수준으로 세밀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2002년 5월 20일, 나에게 한통의 e메일이 날아왔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진화생물학자 윌리엄 해밀턴 박사가 아프리카 콩고에서 말라리아에 걸려 3일만에 운명을 달리했다는 부고였다. 내 눈을 의심했지만 조만간 이 소식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지고 있었다. 장례식은 5일 후에 영국 옥스퍼드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끝없이 펼쳐진 들판을 노랗게 물들인 해바라기의 물결과 우수어린 음악. 이탈리아가 낳은 세기의 배우 소피아 로렌이 주연한 영화 ‘해바라기’에 나오는 이 장면은 영화팬들의 기억속에 지워지지 않고 남아있다.1970년 개봉된 이 영화는 당시 옛소련에 속했던 크로아티아에서 촬영돼 화제가 되기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피카소는 79세 되던 한해 동안에만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라는 작품을 1백40번이나 모사했다. 당시는 피카소가 대화가로서 명예와 부를 동시에 거머쥐고 부러울 것 없이 지내던 시기였다. 그런 대가가 노령에 왜 남의 작품을 1백40번이나 베껴 그렸을까. 그는 자신의 새 작품들을 위해 모네의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1996년 가을 시장에 출시된 DVD는 빛을 이용하는 같은 방식의 저장매체인 CD보다 저장용량이 약 7배 크다. CD는 6백50MB(메가바이트, 1MB=${10}^{6}$B)이고 DVD는 4.7GB(기가바이트, 1GB=${10}^{9}$B)이다. DVD의 탄생은 광기록매체의 시장을 음반시장에서 영화시장으로 바꿔놓았다.최근 들어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1Gbps ...
중학생 30개팀 토론축제 한마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꽃이 다양한 색깔을 갖고 있는 이유는 뭘까. 구름은 어떻게 일정한 높이에 떠있을까. 딱 부러지는 해답이 나올 것 같지 않은 문제들을 놓고 과학영재들이 마치 과학자의 학술발표회를 연상케 하는 열띤 논쟁을 벌였다. 바로 지난 8월 11일부터 15일까지 부산 장영실과학고에서 열린 제1회 한국청소년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구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상 괴물로 꼽히는 태풍.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매년 여름마다 이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제15호 태풍 ‘루사’(RUSA)는 2백46명(사망 2백13명, 실종 33명)의 인명피해와 5조원 이상의 재산피해를 냄으로써 역대 태풍 중 최고의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