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수 있다고 생각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텍사스대 심리
학자
제임스 페너베이커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맞는 것 같다”며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그렇지 않으면 트윗을 할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르네 데카르트(1596~1650) - 프랑스의 철
학자
이며 수
학자
인 동시에 물리
학자
다. ‘나는 생각한다,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담은 ‘방법서설’ ... 한 단계 더 도약했다. 지금 당신의 생각을 헷갈리거나 곤란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과
학자
들처럼 잠깐 악마의 힘을 빌려보는 건 어떨까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세키에게 일본의 ‘뉴턴’이란 별칭이 붙었다.바스카라(1114~1193년)12세기의 인도 수
학자
로, 천문 관측기관의 책임자로 일하며 부정방정식과 원주율 계산에 몰두했다. 바스카라는 음과 음의 곱은 양이고, 음과 양의 곱은 음이라는 것을 내다봤다. 또한 3/0을 무한이라 말해, 0으로 나누는 것의 의미를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경 100km가 넘는 에디라면 그 피해는 더욱 커진다.해양물리
학자
들은 에디의 생성과 특성, 소멸 등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한번 생겨난 에디의 형태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언제 어디서 발생되는지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대륙에서 해양으로 지각의 구조가 바뀌는 전형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국내
학자
들의 주장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Part 4.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결합이 느슨해져 거의 점성이 없는 묽은 수프나 기체처럼 변하게 하는 온도다. 이는 천문
학자
들이 대폭발(빅뱅) 시기와 같다고 보는 상태다. 이 실험을 ‘미니빅뱅’이라 부르는 이유다.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기네스 기록도 우주 최고의 온도로 빅뱅을 꼽고 있다는 점이다. 인류가 직접 경험하지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색적이다.마지막으로 한 마디. ‘꿀벌의 민주주의’에는 현장에서 생물학을 연구하는
학자
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대목이 하나 있다. 자신의 꿀벌 배설물 지식이 미국 정보국과 구소련 사이의 화학무기 공방전을 해결했다는 에피소드를 소개한 직후다. “순수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연구가 어떻게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만든 예쁜꼬마선충은 흙속에서 박테리아를 잡아먹으며 사는 다세포생물이다.]뇌과
학자
들은 확산텐서영상을 통해 찾아낸 각각의 신경섬유 다발이 우리 뇌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 중이다. 뇌의 두 부분이 서로 연결돼 있다는 사실을 알아도 그 연결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난 4월 13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대한면역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면역
학자
인 광주과기원(GIST) 생명과학부 임신혁 교수는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 IRT5를 이용한 알레르기 질환의 면역조절’이라는 제목의 발표를 했다. 발표시간 내내 청중들은 경청했고 발표가 끝나자 여기저기서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LHC)는 끈이론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인 초대칭 입자를 찾고 있지만, 물리
학자
들에 따라 지금보다 1만 배 이상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다중우주의 존재는 우주 자체의 모습을 밝히는 의미도 있지만 또다른 의미도 있다. 우리가 수많은 우주 중 하나의 우주에 살고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다.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