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OOD PEOPLE
보디가드
예스
감각내의
d라이브러리
"
좋은사람들
"(으)로 총 3,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예로부터 생존의 필수품으로 인식돼온 소금. 매일 섭취하면서도 무심결에 지나쳐온 이 백색의 광물질이 몸에서 맡은 역할을 살펴보니… 인간을 비롯한 동물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영양소인 소금(NaCl)은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식품의 하나다. 흔히 소금은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드는 것으로만 알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초전도현상을 일으킬 때 전자는 파동적 성격을 띤다. 또 저항 없어질 때 전자는 기체상태가 아니라 액체상태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자연계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사실 과학적 사고는 연역적 과정과 환원적 과정, 그리고 발견적(heuristic)과정의 복합에 의해 진행된다. 귀납적 결론 ... ...
2. PC와 PC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PC의 유기적 활용을 가능케한 근거리 통신망을 PC통신과 비교해 보다 쉽게 이해해 보자.우리는 정보의 입출력이 한 대의 컴퓨터에서만 이루어지던 시대를 거쳐 자신이 처리한 결과를 다른 컴퓨터에 전달하기도 하고, 다른 컴퓨터로부터 자료를 전송받아 처리, 이용하는 시대에 와 있다.원거리에 있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하수는 땅속으로 서서히 스며들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깨끗하고 일정한 온도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지하수에는 여러가지 화학성분이 용해돼 있으므로 사람에게 대단히 유익하다. 그러나 최근 대도시의 지하수는 음용불가능한 상태로 오염돼 있다.환경의 질적 변화로 인해 지구적 규모 ... ...
2. 윈도우 시대의 글꼴 윤곽선 폰트 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윤곽선 글꼴은 화면용 프린터용을 구별하지 않고 한가지 데이터를 양쪽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필자는 8년 전 애플사의 리자(LISA)라는 컴퓨터를 처음 접하고 마우스라는 신기한 장치로 작동하는 그림 사용자 환경에 감탄을 금치 못했던 적이 있다. 그중에서도 화면에 여러가지 글꼴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한여름에는 자외선의 광도가 점점 세진다. 일명 화학선이라 불리는 자외선은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인간을 포함하여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태양빛에 노출되어, 그 생리대사와 병리현상이 태양빛에 의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이미 고 ... ...
3. 국내업체들, 잠재수요 겨냥해 독창적 서체 개발 경쟁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PC와 고급 프린터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일반 PC사용자들도 높은 품질의 출력물을 얻으려는 욕구가 강하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는 출판 전문가나 인쇄업 종사자의 관심대상이던 폰트가 일반 PC사용자들 사이에 새로운 관심거리로 등장하고 있다.최근 워드프로세서나 DTP(탁상출판시스템)에는 보 ... ...
어른 5명 중 4명은 치주병 환자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흔히 '잇몸병'이라 알려진 치주병은 실은 턱뼈의 일부가 녹는 심각한 질환이다. "이가 흔들리십니까? 잇몸에서 피가 나세요…"TV에도 자주 등장하는 광고의 한 부분이다. 이는 현대인이 이(齒牙)를 잃게 되는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치주병의 초기증세, 치주병, 혹은 '치조농루'라고도 불리는 이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오는 26일에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에로스에 망원경의 초점을 맞춰보고 중순부터 시작되는 물병자리 별똥별의 장관을 감상해보자.장마가 시작되는 7월은 덥고 습도가 높아 짜증나는 계절이다. 그래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는 가장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달이기도 하다.그러나 아무리 장마철이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1993년 4월 3일 오후 2시 35분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모형비행기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카메라를 부착, 원격조종으로 지상을 촬영하는 데 성공한 날이 바로 이 날이기 때문입니다."모형비행기 연구가 김인봉씨(36·데이콤충청지사영업부대리)는 아직도 그날의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