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지점을 방정식에 대입해 해를 구하면 파도의 곡면을 컴퓨터로 흉내낼 수 있거든요. 이걸 전체 영역으로 넓히면, 실제와 같이 생생한 파도의 모습이 만들어진답니다. 파도를 재현하려면, 통계 자료는 필수!안녕하세요, 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파도를 연구하고 있는 홍기용 박사입니다. ... ...
- 전력거래소 탐방 블랙아웃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점에서 가격이 정해지는 거죠.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발전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어요. 전체 전력의 35%가 원자력발전인데, 가장 경제적이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전기를 별로 안 쓸 때는 원자력발전만으로 전기를 만들다, 전기를 많이 쓰면 조금 더 비싼 석탄으로 전기를 만든대요. 다음으로 비싼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몇 시간이 흘렀을까. 3시간? 4시간? 아니 며칠이 지났을지도 모른다. 분명 여긴 행성 전체가 붉은빛을 띠는 화성 표면이다. 차갑고 적막하다. 먼저 방문한 바이킹, 피닉스, 소저너, 스피릿, 오퍼튜니티도 이런 느낌이었을까.갑자기 왜 이렇게 진지해졌냐고? 발사 때 보여줬던 패기와 배짱은 다 어디로 ...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 옥수수를 싣고 다니며 새로운 팝콘을 선전했다. 결국 한 대기업의 눈에 들어 미국 전체에 팔 수 있게 됐는데, 촌스럽게 생긴 자신의 외모를 선전에 이용해 오히려 톡톡한 인기를 끌었다.이 책에는 이런 소소한, 하지만 없는 생활을 상상하기 힘든 일상의 발명품 이야기가 가득하다. 특히 눈길을 ...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말했다. 다만 매달 지속적으로 복용하거나, 한 달에 여러번 복용할 경우에는 호르몬의 전체적인 수치나 주기가 변해 불임 등이 올 수도 있다.또 응급피임약을 72시간 내에 복용하면 피임효과도 낮지 않다. 상용피임약의 피임효과는 약 92~99%다. 실험결과, 응급피임약은 72시간 안에 복용했을 때 0.8%만이 ...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2000년대 초반에는 9.2%로 급증했다.2004년 진행된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은 전체 칼로리의 12%, 청소년은 13%, 어린이는 10%를 음료의 당에서 섭취했다. 높아진 경각심과 각종 규제로 2000년대 중반 이후 증가세는 멈췄지만 만연된 비만을 줄이려면 탄산음료 섭취를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수가 없고 감마선이 공간을 메우고 있을 것이다.우주상수(Λ)의 값이 달랐다면?우주 전체의 에너지 밀도는 임계밀도와 똑같아서 우리 우주는 편평한 우주가 된다. 만일 이 상태에서 우주상수의 값이 더 작았다면 우주는 지금도 감속팽창을 해 우리가 우주상수의 존재 자체를 아직 몰랐을 수도 있고, ...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시간이 빠른 발전소는 최소 몇 시간 안에 다시 전력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국가 전체를 며칠 만에 완전히 복구하긴 어려울 것이다.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윤재영 박사는 “원전은 한 번 중단되면 철저한 안전점검 등을 거쳐야 하므로 재가동에 적어도 며칠은 ... ...
- GIST 정자호 입학사정관 인터뷰 - “중요한 것은 ‘What’이 아니라 ‘How’”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약간 늘어납니다. 정시모집은 변함없이 20명이지만 수시모집에서 10명을 증원해 90명, 전체 신입생 모집인원 110명을 뽑습니다. 물론 모집인원을 늘려달라는 요청이 많습니다. 하지만 교수 1인당 학생 비율(현재 1:10), 강의당 학생 수 등 교육의 질적인 측면과 강의실, 실험실, 기숙사 등 교육 환경적인 ... ...
- [재미] Maths in the city, LONDON!수학동아 l2012년 07호
- 강바람과 다리 위를 건너는 사람들의 발걸음의 진동이 다리의 고유진동수와 만나 다리 전체가 흔들렸던 것입니다. 공진 현상이 심해지면 다리가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에, 수리공들은 심하게 흔들리는 부분에 지지대를 설치해 진동수를 줄였습니다. 덕분에 밀레니엄 브릿지는 다시 태어날 수 있었죠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