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보통생각
d라이브러리
"
일반생각
"(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끈이론은 10차원에서 성립한다. 또 5종류의 끈이론을 하나로 통합하는 M이론은 11차원을 가진다. 왜 이렇게 고차원일까. 이해하기 힘들지만 수학적인 방법에서 출현한 것이다.또 끈이론가들은 4차원 이상의 추가적인 차원은 매우 촘촘하게 말려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2차원의 종이를 돌돌 만 다음,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람은 항온동물에 속한다. 내 곁의 사람이든 나든 인간이라면 37℃라는 특정 온도를 띠고 있다.그런데 왜 하필 37℃일까. 36.5 또는 37.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 숫자가 인간의 체온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이 숫자만큼이나 인간의 체온이 단순할까.때때로 자신의 팔을 만져 ... ...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온갖 추태로 얼룩진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은 스포츠의 도덕성을 뒤돌아보게 한다. 현대 스포츠에 스포츠맨십이 과연 존재할까. 선수들은 지는 한이 있더라도 정정당당하게 싸우며, 자신을 이긴 상대방을 축하해줄까. 또 사회에서도 일반인보다 더욱 페어플레이를 할까. 이번 솔트레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육식 채식 논쟁과 더불어 또 하나의 고민거리는 그냥 먹을지 조리해 먹을지의 선택 문제다. 수많은 조리법이 등장하고 있는 현대의 식생활. 인간이 식품을 조리해서 먹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형태의 식품을 섭취해야 할까. 인간의 식품은 생물종의 체계 속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아인슈타인의 가장 큰 실수1917년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론을 전체우주에 적용하면서 고민이 생겼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서로 끌어당기는 중력 때문에 우주가 급격하게 붕괴돼야 했기 때문이다. 당시 과학자들에게 우주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정적인 존재로 보였다. 어느 과학자이건 우주가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밤하늘에서 가장 친숙한 대상은 뭐니뭐니해도 보름달이다.이번 정월대보름에 뜨는 보름달은 올해 중 가장 크다고 한다.정월대보름을 맞아 보름달 크기를 직접 재보는 일은 어떨까.올해 2월 26일은 음력 1월 15일로 정월대보름이다. 정월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민족의 고유명절이다. 이 ... ...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게임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도구 인터페이스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자리에 앉아 단순히 키보드나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일에서 벗어나 실제 뛰고 달리몀 게임을 즐기는 것이다. 게임 돌풍을 일으키는 인터페이스를 만나보자.당신이 맛으로 유명한 식당에 있다고 가정해보자. 당신은 바로 그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MEMS가 IT와 만났다. 광속과도 같은 인터넷이 첨단 초소형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하는 IT의 미래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다. IT 기술의 발전에 MEMS는 어떤 역할을 담당할까.2010년 사람들로 붐비는 도심의 거리.정보통신단말기판매업체가 이제 갓 출시된 따끈따끈한 신형 단말기를 홍보하는 거리판촉전을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미국 9.11 테러 사건 이후 전세계적으로 폭탄 테러 비상이 걸렸다. 그런데 숨겨진 폭탄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TV에 등장한 것은 특수 카메라와 같은 최첨단 장비가 아닌 바로 개였다. 폭탄을 찾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탐지견에 대해 알아보자. 2002년 6월 어느날. 월드컵 경기를 보러온 수많은 관광객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임진왜란의 역사를 읽다보면 제대로 저항 한번 못하고 처참하게 무너지는 육군의 무기력함에 심한 분노와 좌절감을 느낀다. 그래도 우리의 자존심을 조금이라도 살려준 싸움은 이순신 장군이 이끈 해군의 승리일 것이다. 승전보의 한가운데는 이순신 장군의뛰어난 전술이 있었지만 거북선을 비롯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