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교수는 “유기염료가 아직까지 소자 공정이 최적화되지 않아 학문이나 산업적으로 발전
가능성
이 크다”고 설명했다.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다양한 염료를 이용해 흡수하는 빛의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금속을 쓰지 않아 자원의 제약도 없다. 값비싼 제조설비가 필요 없어 기존 실리콘 ... ...
인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년 전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가 인류가 속한 ‘호모’ 속의 직계 조상일
가능성
이 높아졌다고 미국의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이 4월 18일 보도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위퉈터스랜드대 리 버거 교수 연구팀은 4월 12일 미국 고인류학회와 16일 미국체질인류학회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생물은 대부분 해류를 타고 이동한다. 후쿠시마 근처를 흐르는 한류성 해류(D)가 특히
가능성
이 있다. 냉수성 어류인 명태나 연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2[대기]방사능 피해는 거리와 관계 있나원전과 가까운 지역이 위험하고 먼 곳은 안전하다는 것이 상식일 것 같지만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객관적인 관측 자료를 보강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백두산 분화
가능성
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화산성 지진을 감지하고 수준계와 GPS를 통한 지표의 기울기와 팽창 정보, 화산성 가스 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엔트로피라는 양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특히 원자가 여러 개 있을 경우 입자들의 구분불
가능성
때문에 구분 가능한 경우보다 일을 더 할 수도 있다. 결국 질라드 엔진이 맥스웰의 도깨비가 아니라는 얘기다.21세기는 정보화시대라고 한다. 이는 주로 인터넷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정보는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장 속에서 공생하며 살고 있는 박테리아에서 우수하고 값싼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
을 발견했어. 흰개미의 장 속에 살면서 나무를 소화시켜 주는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나무로 바이오 연료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거지. 그래서 박테리아가 만들어 내는 효소를 찾아서 합성하려고 해 ... ...
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중학생에 비해 자기 조절 능력도 높아 불필요한 계산에까지 전자계산기를 사용할
가능성
도 낮다. 게다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사회활동을 할 수도 있는데, 이때 현장에서 쓰게 될 전자계산기를 미리 쓰는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셈이다.그래프나 도형을 이용한 시각적 효과그렇다면 어떤 ... ...
[Issue & Math] 수학을 그린 화가 브네의 작업 노트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난 수학자 쿠르트 괴델을 존경한다. 괴델은 참인지 거짓인지 결정할 수 없는 존재의
가능성
을 밝힘으로써(불완전성 정리) 이전 학자들이 생각하지 못한 높은 수준의 수학을 보여줬다. 이런괴델에게 경의를 표하며 작품을 하나 제작했다. 단순한 삼각형에 괴델의 이론을 가득 채웠다. 이 작품은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데 별영향이 없다”며 “아직은 시스템이 최적화되지 않아 효율이 낮은 편이지만
가능성
이 확인된 만큼 미래는 밝다”고 말했다.➊ 한국화학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한 6세대 실리콘잉곳. 36개의 벽돌로 자른 상태다.➋ 가로세로 15.6cm인 벽돌을 두께 0.2mm로 썰어내 웨이퍼를 만든다. 이 ... ...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반응이 많다. 만약 사실이라면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하는 대단한 발견이지만, 단지 오류일
가능성
도 있다. 에너지를 아주 정확히 측정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아직 결론을 내리기는 이르다”며 “테바트론과 LHC의 자료가 더 쌓여야 확실히 알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