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3,1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중이온가속기 융합연구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2019 세종과학기술인대회’를 열었다. 행사는 지난해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을 맞이해
처음
열린 이후 올해가 두 번째다. 2019년 과학기술유공자 16인 신규 지정을 축하하고 업적을 재조명하는 헌정강연과 정부 출연 2주년을 맞아 과학기술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는 정책포럼이 열렸다. 국내외 ... ...
'리틀포레스트는 허구?' 도시보다 농촌 비만 더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1억 명이 넘는 전 세계 비만 인구를 도시와 농촌 등 지역별로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
이다. 연구진은 전 세계 200개국 연구자 1000여 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런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는 사람들이 흔히 갖고 있던 비만에 대한 선입견을 모두 깨뜨렸다. 먼저 최근 33년간 ... ...
발달장애인과의 상생, 기업들도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대학도 발달장애인 고용에 앞장서고 있다. 이화여대는 2009년, 국내 대학 가운데에서는
처음
으로 발달장애인 5명을 고용하기 시작해 지난해까지 16명을 중앙도서관과 행정실 등에 고용했다. 길연희(왼쪽), 신희숙 ETRI 책임연구원이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을 위한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알타이 지역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뼛조각의 DNA를 해독하는 과정에서 존재가
처음
알려진 고인류다. 2010년 스반테 패보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팀의 게놈 해독 결과 현생인류나 네안데르탈인과 다른 제3의 인류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데니소바인’이라는 새 이름을 얻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차이다. 계절불일치가 덜 일어나는 유전형이 선택돼 번성할 수 있기 때문에(소진화)
처음
에 예측했던 것보다 타격이 적다는 것이다. 그리고 살아남은 개체는 경쟁이 덜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손을 봐 줄어든 수를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다. 한편 식물과 수분 곤충처럼 의존 관계에 있는 종들 ... ...
플라스틱 OUT! 빨대의 ‘착한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않고 마시기 위해 사용하는 등 용도가 확대됐다. 플라스틱 빨대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처음
등장했다. 잘 썩는 천연재료 대신 오래 쓰고 값싼 석유화학 제품이 대량 공급되기 시작한 것이다. 환경매체 솔리드웨이스트앤리사이클링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연간 1825억 개의 플라스틱 빨대가 소모되고 ... ...
“이것이 인간이
처음
소행성 표면에 만든 인공 크레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영상으로 확인됐다. 인류가 소행성 표면에 인공 충돌구(크레이터)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5일 “5일 류구 표면을 향해 발사했던 금속 탄환의 충돌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시 류구 표면에 접근했다”며 “영상을 통해 약 20m 지름의 크레이터의 존재를 ... ...
[이정아의 닥터스]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책임 국가가 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받는다면 조현병 환자도 일반인처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 조현병은 대개 10~20대에
처음
나타난다. 한번 발병하면 뇌가 달라지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해 조기에 치료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발병 초기 5년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에는 약물치료만 잘 받아도 일반인과 비슷하게 생활할 수 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수 있는 학문이다. 과학이 천재들에 의해 발전한다는 건 픽션에 불과하다다. 과학은
처음
부터 협동조합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서만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진 학문이다. 고독한 천재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혼자서는 과학에 기여할 수도, 발견을 인정받을 수도 없다. 과학적 발견은 협동조합의 지원 ... ...
러닝화 충격완화 효과 의외로 적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관절을 강화시킨 후 점차 달리는 속도를 늘리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한
처음
부터 오랫동안 달리기보다는, 달리는 거리를 점차 늘려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스포츠의학회지' 14일자에 소개됐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