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4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과 동물의 운동 조절하는 새 뉴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하지는 못하고 물에 떠있기만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이 신경
세포
가 동물의 움직임이나 의식적인 행동을 조절하고 제어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멘티스 교수는 “복부척수소뇌로뉴런을 제어만 해도 움직임과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이번 발견은 ... ...
[표지로 읽는 과학]1초에
세포
1만5000개 분석해 질병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3
특성 분석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며 “여러 질병과 관련된
세포
기반의 진단과
세포
특성 분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도 계속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 ...
한국뇌연구원, 신경 퇴행 억제에 비타민 B12 효과 규명
연합뉴스
l
2022.01.21
않았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신경
세포
에서 TDP-43가 과발현했을 때 유도되는 신경
세포
사멸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비타민 B12 처리로 개선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초파리 모델에서도 TDP-43 발현으로 유발된 운동 능력 결함과 수명 단축이 비타민 B12 공급을 통해 회복된다는 것을 밝혔다. ... ...
5000명중 1명 앓는 난치병 '미토콘드리아 질환' 치료 한 걸음 더 다가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0
만든 다음 미토콘드리아 DNA를 교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구조를 찾아냈다. 이를 이용해
세포
핵뿐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의 DNA에서 시토신-구아닌(C-G) 염기쌍을 티민-아데닌(T-A)으로 치환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또한 이 기술은 기존 DdCBE만으로는 만들 수 없었던 변이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 ...
'만만치 않은 우주여행'…우주 무중력 적혈구 파괴 증가 초래`
연합뉴스
l
2022.01.18
지구에서는 매초 약 200만개의 적혈구를 생성하고 파괴하는데, 우주에서는 초당 300만개의
세포
가 소멸돼 54%가량 더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남녀 우주비행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우주비행사의 호흡 시료에서 일산화탄소(CO)의 양을 측정해 파괴되는 적혈구를 파악했다. CO 1개 ... ...
코로나19 후각·미각 상실 영향 준 유전자 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11% 높이는 것과 관련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UGT2A1과 UGT2A2 유전자는 모두 코 안쪽에 있는
세포
에서 발현되는 효소를 암호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냄새를 감지하는 데 관여하는 수용체와 결합하는 후각 자극 물질을 없애는 데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코로나19 환자의 ... ...
면역 항암제 부작용 줄이고 효능 높인 신기술 '속속'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MIT 연구진이 사이토카인(IL-12)에 수산화 알루미늄을 결합한 단백질을 종양에 전달한 뒤 종양의 모습이다. 핑크색은 IL-12를 나타내고 노란색은 수산화 알 ... 융합해 암
세포
표면에 표적 신호를 만든다”며 “표적 신호가 만들어진 암
세포
는 면역
세포
로부터 더이상 숨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 ...
[잠깐과학]‘블랙 위도우’의 치명적인 독
과학동아
l
2022.01.15
결합하기 전 사량체를 구성하는 모습도 밝혔다.
세포
막에 구멍이 뚫리면 칼슘이온이
세포
내로 유입되고, 그 결과 막대한 양의 신경전달물질이 나와 몸이 마비되는 원리다. 가트소지아니스 교수는 “라트로톡신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어떤 신경독과도 구분되는 특성을 지녀 연구 가치가 크다”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이름을 명명했고, 현재 논문출판을 진행 중이다. 이 유전자는 별모양으로 생긴 아교
세포
인 아스트로사이트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유전자 명명법위원회(HUGO Gene Nomenclature Committee) 제공 생물의 이름에는 이야기가 있다 마치 농담이라곤 전혀 할 것 같지 않은 과학자의 이미지에도 ... ...
2형 당뇨병 사망의 주범 혈전증,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냈다
연합뉴스
l
2022.01.12
표지의 발굴 등을 목표로 삼았다. 연구팀은 2형 진성당뇨병 환자의 혈액 샘플을 채취해
세포
반응을 검사한 뒤 당뇨병이 없는 환자와 비교했다. 여기에서 PIEZO 1 단백질의 중요한 역할을 시사하는 여러 가지 증거가 나왔다. 2형 진성당뇨병 환자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혈당 수치가 올라가면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