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뉴스
"
설치
"(으)로 총 4,03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촌평]전 원안위원장의 이유있는 ‘후안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3년 이내 원자력 관련 단체 사업에 관여한 경우’ 결격 사유로 정하고 있는 원안위
설치
법 때문이다. 결격 사유가 있는 인사를 위원장에 선임한 것은 차치하더라도 문제가 불거지자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인 국회에서 ‘그런 일 없다’고 위증한 것은 더욱 큰 문제로 지적됐다. 정부 기관 ... ...
삼성·LG·현대차·네이버…CES서 '4사 4색' 로봇 경쟁
연합뉴스
l
2019.01.09
작게 만든 프로토타입 모델이 공개됐는데, 로봇 다리를 이용해 무대를 걸어 다니고
설치
된 계단을 오르내리다가 다리를 접어 일반 자동차로 변신하는 '한국판 트랜스포머'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현대차는 엘리베이트가 상용화되면 수색·구조와 교통약자의 이동을 돕는 등 공공 분야에서 다양한 ... ...
4월 27일 남북 표준시 알리는 장파방송 첫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우려해 능서면한국표준시방송국
설치
반대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장파표준시방송국
설치
를 반대해 왔다. 다만 주민들은 이번 합의를 통해 우선 표준시 시험방송에 대해 2020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 본 방송에 대해서는 추가 합의가 필요하다. 북한은 지난해 5월 5일 0시를 ... ...
[2019 CES] 포스텍 스타트업 폴라리스3D, 자율주행로봇 솔루션 선보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인프라 장치를
설치
해야만 했다. 반면 연구진이 개발한 솔루션은 별도의 인프라를
설치
할 필요가 없다.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병렬가상머신(PVM)’ 방식으로 로봇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ANS는 로봇이 주변 장애물과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해가며 3차원(3D) 지도를 작성한 ... ...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01.08
신호를 보낸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식물이 담긴 화분에 은으로 된 전극과 바퀴를
설치
했다. 양쪽에 조명을 두고 한 쪽에 빛을 비추면, 빛을 감지한 식물의 전기신호가 줄기와 잎에 있는 전극을 따라 증폭되면서 식물 아래의 바퀴로 전송된다. 그러면 바퀴가 빛이 있는 쪽, 즉 생존에 더 적합한 ... ...
"쥐는 무슨 얘기 하나" 세계 최초 쥐 언어 분석AI ‘딥찍찍’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초음파를 탐지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미 나와있지만 오류가 여전히 많다.
설치
류가 내는 초음파가 아닌 다른 소음을 탐지하거나 데이터 분석에 오래 걸리고 해석이 틀리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딥찍찍을 통해 쥐들의 대화내용을 엿들어봤다.-미국워싱턴대 제공 딥찍찍은 인간의 신경을 ... ...
숲이 속삭이는 소리 듣고 생물다양성 평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등 다양한 생물 종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오세아니아 파푸아뉴기니 숲에
설치
된 생물음향학 장치가 숲의 소리를 모으고 있다. -저스틴 호쉬어 제공 인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할 수 있다. 트랙터나 불도저 같은 인간이 만들어내는 기계 소리가 서식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
3대 항공엔진 회사 롤스로이스, 가장 빠른 전기비행기에 '눈독'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동체엔 6000개의 리튬 이온 셀로 이뤄진 배터리 팩이 장착된다. 지금껏 전기 비행기에
설치
됐던 배터리팩 중 가장 촘촘하다. 한번 충전하면 서울에서 대구까지의 거리인 약 320km거리를 날 수 있다. 이 전기 비행기는 롤스로이스가 원활하고 안전하며 빠른 항공기 개발을 목표로 추진하는 항공기 ... ...
파도 조건 상관없이 24시간 파력발전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전기를 생산하는 파력발전은 무한하고 깨끗한 에너지원이지만 조수 간만의 차가 크면
설치
가 불가능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파도의 방향 탓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기존 파력 발전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박민수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픽셀 수 자체를 늘려 고화질 영상을 만들어낸다. UHD TV에 셋톱박스 크기의 장치만
설치
하면, FHD 방송 콘텐츠도 쉽게 UHD 영상으로 즐길 수 있다. 360도 가상현실(VR) 콘텐츠에도 적용 가능하다. 김일두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색변화 센서는 0.4ppm 농도의 극미량 황화수소에 노출됐을 때 1분 만에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