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른손이 하는일 왼손도 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일으켜 더 우수한 머리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EQ론자들의 주장. 이를 위해 왼손과 왼발을
자주
사용해 오른쪽 뇌를 발달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 이런 분위기가 앞으로도 계속된다면 왼손 사용을 강요하는 부모들을 만나는 일도 어렵지 않을 듯 싶다 ... ...
인터넷으로 지구촌 친구들을 만나자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도우미로 나섰다 어떻게 전자메일을 보내는지, 브라우저란 무엇인지 등 웹을 이용할 때
자주
생기는 의문을 FAQ로 정리해 뒀다. 컴퓨터와 네트워킹을 사용할 때 꼭 알아둬야 할 용어를 설명해 놓은 사전도 있다. 또 사운드파일 만드는 법, 파일을 인터넷으로 보내는 방법들이 친절하게 설명돼 있다 ... ...
인터넷 더 싸게, 더 빠르게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관리하는 기법을 채택해 효용성이 더욱 높아졌다. 특정 홈페이지의 접속 빈도를 계산해
자주
접속하는 홈페이지의 파일을 더 많이 넣어두는 것이다. 윈도 NT나 윈도 95의 차기 버전에는 이미 이 기능이 내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캐시 기법을 서버 차원에서 활용한 것이 프록시(Proxy)다. 인터넷 서비스 ... ...
Ⅱ. 모르면 마술, 알면 과학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와인으로 바뀌어 가득 채워지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바로 직전까지의 마술은 워낙
자주
보았던 터라 무덤덤하던 관객들도 맹물이 와인으로 변하는 순간에는 탄성을 지른다. 도대체 어떻게 물이 와인으로 바뀔 수 있을까.이 마술은 매우 상식적인 비밀을 담고 있다. 산과 알칼리를 구분하는 지시약을 ... ...
Ⅰ. 속임수?이해가능한 과학적 연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꽁꽁 묶인 상태에서 몸을 풀어내 위기 일발의 순간을 벗어나는 탈출마술은 지금도
자주
공연되는 단골 프로그램이다. 탈출마술은 사람의 몸을 무엇인가로 부자연스럽게 구속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여기에 동원되는 도구로는 쇠사슬이나 수갑, 또는 굵은 등산용 로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 ...
Ⅲ. 마술의 극치, 인체부양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마술사가 됐던 것이다. 실제 성서를 들쳐보면 창세기편에 마술가들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볼 때 마술의 시초는 인간의 탄생과 함께였다고 말해도 큰 무리는 아닐 것이다.수많은 마술 가운데서 특히 사람을 허공에 띄우는 인체부양술의 최초 진원지는 인도로 알려져 ... ...
신경정신과 전문의 김주한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무렵으로 기억된다. 당시 "의사가 되려는 사람이 왜 컴퓨터를 배우려하는가"라는 질문을
자주
받곤 했는데, 그때마다 "그저 취미일 뿐"이라는 궁색한 답변에 시달려야 했다.하지만 의학과 컴퓨터가 별 연관이 없다는 생각이 깔린 이같은 질문은 요즘들어 쑥들어갔다. 바야흐로 원격의료나 의료정보학 ... ...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법을 배웠다. 김교수가 그동안 공룡발자국의 특징을 여러차례 가르쳐준 덕택도 있지만
자주
보니까 눈이 뜨인 것도 사실이다.공룡발자국은 앞과 뒤가 다르다. 앞은 뒤보다 작다. 아마 머리쪽보다 엉덩이쪽이 몸무게가 더 나갔던 모양이다. 또 뒷발자국은 앞발자국보다 뭉툭했다. 앞발자국은 대개 ... ...
정자들의 전쟁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이론을 사람에게 적용해보면 흥미로운 결론에 도달한다. 인간은 재미 삼아 성교를
자주
하므로 오랑우탄이나 고릴라보다 고환이 크지만 난교보다는 일부일처의 혼인제도가 보편화되었기 때문에 침팬지보다 작은 고환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사람이 침팬지 다음으로 큰 고환을 가졌다는 사실은 ... ...
웹인터내셔널 대표 윤석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라디오에서는 그의 프로그램이 방송된다고 한다.어린 시절 알퐁스 도데의 '별'을 읽고 난
자주
상상에 빠져들곤 했다. 지금도 가끔 삶에 부대끼며 고단할때는 여기서 내 별자리를 본다. 그의 신비스러움과 정확함에 삶의 괴로움은 없어지고 어느새 어린 시절로 다시 돌아간 듯한 상상의 나래를 펼 수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