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로봇의 움직임으로 바꾸는 인터페이스를 최초로 개발. 2013년 미국 시카고대 재활연구소 연구팀, 사람의 신경계와 의족을 직접 연결해 생각만으로 인공다리를 움직이는 데 성공. 2000년 니코렐리스 교수, 원숭이 뇌파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 2014년 니코렐리스 교수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 연구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호에 실렸다.이스라엘 바이안대 나노재료공학연구소의 이도 바체레트 박사는 “생물학적인 치료과정이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똑같은 건 처음”이라며 “로봇의 수가 많을수록 더 복잡한 미션을 수행할 수 있어 조직마다 다른 처방을 해야 할 때 유용할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우리는 쥐의 모든 형질을 한 곳에서 분석한 세계 최초의 연구소”라며 “다양한 연구소의 과학자들과 4개 대학의 연구자들을 모아 GMC를 설립했다”고 말했다. “이토록 깨끗한 동물실험실은 처음”퓨크스 박사는 기자에게 푸른색 두건과 마스크, 보라색 실험복을 건넸다. 그리곤 한 사람이 겨우 ...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울 빌레다 교수팀과 하버드대 하버드줄기세포연구소의 마니샤 신하 교수팀, 리다 카트심파르디 교수팀은 이 같은 사실을 연구하고 각각 ‘네이처 메디슨’ 5월 4일자와 ‘사이언스’ 5월 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젊은 쥐와 늙은 쥐의 배 부분에 있는 혈관을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것은 이 분 야의 전문가들도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다. 이 분야의 개 척자인 미국 카네기연구소 스콧 셰퍼드 박사와 UCLA 지구행성우주과학과 데이비드 제비트 교수는 2006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기고문에서 2001년의 일을 회상 했다. 그들은 하와이대에 함께 재직할 당시 불규칙위성 을 몇 개까지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수 있었다.돌고래는 등지느러미의 상처가 제각각 달라 사람의 지문처럼 이용한다. 고래연구소는 제주도에 있는 거의 모든 남방큰돌고래를 등지느러미로 구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1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촬영한 8000여 장의 사진을 분석했다. 지금도 매년 4회 확인하며, 총 109마리의 식별 ...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없던 새로운 생명체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화학과 플로이드 롬스버그 박사팀은 DNA에 2개의 인공 염기를 지닌 새로운 인공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5월 7일자에 발표했다.세포핵 안에는 유전 정보가 든 DNA가 있다. DNA 가닥에는 A(아데닌), T(티민), C(시토신), G(구아닌) 등 4가지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쓸 패널은 크기와 재질이 전혀 달라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다. 김광호 스틸플라워 연구소 차장은 “휜 알루미늄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인 스프링백이 가장 큰 문제였다”고 말했다. 1년 정도의 연구 끝에 스프링백 현상을 제어하는 데 드디어 성공했다. 핀들이 알루미늄 패널을 누르는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원전은 문제없을까? 참고할만한 논문이 한 편 있다. 2011년 4월 서울대 원자력영향역학연구소가 수행한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 보고서다. 연구팀은 1992년부터 2006년까지 원전 주변에 사는 지역주민 총 1만1367명을 검진하고 2011년 2월까지 암발생을 추적조사한 결과, 놀라운 ... ...
- 4개의 쿼크+반쿼크 ‘Z-입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만들어지는 ‘메존(중간자, 파이온 등)’ 두 가지가 있다. 하지만 2008년 일본 고에너지연구소(KEK)는 메존의 일종인 B메존의 붕괴 실험을 통해, 두 가지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강입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미지의 입자에는 ‘Z-입자’라는 이름을 붙였다.이번에 연구팀은 LHC 안에서 이뤄진 180조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